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일회용컵 보증금제, 왜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소각하거나 매립한다”고 말했어요. 플라스틱컵은 선별이 어렵고, 종이컵은 코팅지를
분리
해야 해 재활용 비용이 크기 때문이에요. 거리에 버려진 일회용컵이 만약 바다로 갔다면 해양 오염도 일으켰을 거예요. 실제로 2018년 인도네시아 해변에 떠밀려온 향유고래 사체에서 플라스틱 컵 115개가 ...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스즈키 마코토 덕분이다. 과자 제조 기술자로 일했던 그는 비닐을 이용해 밥과 김을
분리
해서 포장하는 기계를 발명했다. 이 기계 덕에, 김과 밥은 삼각김밥 포장을 뜯는 순간에서야 비로소 합체 한다. (이론적으론 이렇지만, 사실 합체 성공률은 높지 않다.) 목이 마르니 이제 아이스커피를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어과동에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에 참여하며 지구를 지키는 영웅들이 있습니다. 여러분도 플라스틱 다이어트에 함께해 주세요! 플라스틱 다이어트 챌 ... 다 마시고 난 뒤 플라스틱 통을 감싸고 있는 비닐을 벗겨서
분리
배출했어요. 앞으로도 꾸준히
분리
배출을 실천할 거예요 ... ...
[SF 소설]톨리의 숲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그 사실이 변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았다. 티타니아 그룹의 중추 AI 테세우스에서
분리
되어 보육 네트워크에서 학습하는 동안만 해도 톨리는 무엇이든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에코버스에 배치된 뒤로 톨리는 새였고, 가상공간의 새에 어울리는 프로세서 타임과 메모리만이 배정되었다. 톨리가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첫 도전!음료를 다 마시고 난 뒤 페트병 뚜껑과 비닐을 떼어내
분리
배출했어요. 직접
분리
배출을 실천한다는 것이 자랑스러웠어요. 앞으로도 계속 따·분·행! 캠페인에 참여할 거예요! 줍깅탐사박윤 기자 산책길에 줍깅동네를 산책하며 부모님과 함께 쓰레기를 주웠어요. 은색 껌 포장지와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참여한 녹음을 화자별로
분리
해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네이버의 클로바도 이 음원
분리
기술에서 시작된 셈이다. 이후 퀄컴으로 자리를 옮긴 뒤 그는 기계를 부르면 비서가 나와서 응대해주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기계가 특정 자극에 반응해 깨어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이다. 알렉사의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4개 더 많다.연구진은 헬륨-8을 양성자 표적과 충돌시켰을 때 헬륨-4와 테트라 중성자로
분리
돼 약 3.8×10-22초라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중성자만으로 이뤄진 핵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테트라 중성자, 핵물리학의 큰 전환점 될 수도새로운 발견은 늘 연구자들을 즐겁게 한다. 우리가 ... ...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뼈힘줄 하나도 마른 나뭇가지처럼 45도 가까이 꺾여 있었다. 이 뼈들은 완전히 부러져
분리
되지 않고 그대로 아물었다. 상처는 고통스러웠겠지만, 다행히 치명상은 아니었는지 뼈가 부러지고도 살아남은 것이다. 타르키아의 뼈를 부러뜨린 범인은 누구일까. 이 갑옷공룡은 꼬리척추들이 엉겨 붙어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인근 하수관로를 바로잡는 공사가 빨리 이뤄져 2018년 완공됐다. 같은 해 반포천 유역
분리
터널 공사를 착공해 올해 6월 완공했다. 배수구역 경계조정 공사는 예산 등 문제로 2024년까지 연장된 상태다. 그러나 모든 공사가 계획대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이번 집중호우의 피해를 막을 순 없었을 거라는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콜린성 신경세포를
분리
해 RNA 염기서열을 분석했습니다. RNA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해당 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종류와 양을 알 수 있습니다. 염기서열을 분석해 보니 중독된 쥐의 콜린성 신경세포에서 도파민의 제2형 수용체인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