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비"(으)로 총 1,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한울의 가죽 상태는 좋지 않았다. 동물이 죽은 뒤 기온이 높은 장소에 오래 있거나, 내장 분비물 등의 오염물질이 가죽에 묻으면 부패가 진행된다. 부패된 가죽은 손끝만 스쳐도 털이 떨어져 나간다. 박제사들은 이를 ‘털이 밀린다’고 표현한다. 동물의 생전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털을 ...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것을 막거나,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 합성을 억제하고 항염증 단백질을 분비하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덱사메타손이 중증의 코로나19 환자에게 효과를 보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분석한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산소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중증환자는 ...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띠뇌실막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단백질로, 신경계 정보전달에 관여하는 신경펩티드 분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 TSPO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는 쥐는 식욕 억제 증상을 보였다. 음식 섭취량은 적었고, 에너지 소비량과 대사 효율은 높았으며, 띠뇌실막세포 내 AMPK 단백질은 활성화돼 지질을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치료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면역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인터류킨(IL)-6 분자의 작용을 억제해 사이토카인 폭풍을 막을 수 있다.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컫는 사이토카인 폭풍은 최근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때문에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되면 에이즈 환자로 판명된다. HIV는 감염자의 모든 체액에 존재하며,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에 많이 존재한다. 주로 성관계로 감염되지만, 감염된 혈액을 수혈하거나 HIV에 오염된 주사바늘을 이용하는 등의 접촉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또 부모가 감염되면 모유 수유 등을 통해 자녀에게까지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암세포) 같은 비정상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림프구가 활성화되도록 돕는다. 특히 항체를 만들 수 있도록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도움 T림프구나 수지상세포가 작용해야 한다. 기억 T림프구는 한번 인식한 항원을 기억하며 장기간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밖에도 자연살해세포는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의 증식을 차단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바이러스 침입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동물에서 사람으로 종간 벽을 넘은 이종간 감염이 일어난 것이다. 사스는 체액과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 전파뿐 아니라 공기 중 전파도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독감과 비슷한 근육통, 기침 등이 증상으로 나타나며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사스의 원인 바이러스는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붙잡으려고 한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백혈구는 테더린(tetherin) 단백질을 분비하는데, 이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바이러스를 붙잡는다. 면역세포가 도착할 때까지 잡아두는 것이다.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탈출에서 성공하면 다음 목표는 무사히 체외로 빠져나오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