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례"(으)로 총 1,2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제어를 감당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가장 단순한 제어 기법인 ‘비례적분제어법’을 선택했다. 드론의 이동 궤적을 정해 놓고 드론의 이동 궤적과 센서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면서 둘 사이의 오차만큼 움직임을 보정하는 가장 단순한 제어기법 중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방향을 가지는데, 충격량의 크기는 충돌하는 동안 물체에 작용한 힘과 작용한 시간에 비례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충격량은 힘과 시간을 곱한 값으로, 힘만 방향을 가지므로 충격량의 방향은 물체에 작용한 힘의 방향과 같다. 또한 물체가 받는 힘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힘-시간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먼 거리에서는 지금처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는 거리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래서 거리에 따른 중력의 변화를 그래프로 그리자 ‘가파른 미끄럼틀’처럼 나타났다. 연구팀은 정육면체 모양 지구의 한 면에 대해 중력의 변화를 시각화했다. 사람이 어떻게 느낄지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분으로 에멀젼을 만든 뒤, 점도를 다르게 했더니 SPF지수가 15.15에서 70.01까지 점도에 비례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에멀젼의 점성과 탄성이 높으면 피부 위에서 화학 성분들이 구조를 회복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결과적으로 균일한 차단막을 형성하기 때문이죠. 찐득찐득해서 바르면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당기는 힘으로, 힘의 크기(F)는 두 물체의 질량(m1, m2)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r)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중력은 일반적으로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천체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을 의미한다. 중력은 질량을 갖는 모든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의 한 종류로,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수학동아 l2018년 04호
- 1m 18cm로 추정했습니다. 게임 속 런던 공중전화 부스 높이와 망치 높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비례식에 실제 공중전화 부스의 높이인 2m 51cm를 대입했죠. 주인공은 3m도 안 되는 거리를 움직일 때마다 자기 몸뚱이보다 훨씬 무거운 바벨을 하나씩 들어야 하는 겁니다. 포디는 게임 개발자일 뿐만 아니라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낮으면 차갑다고 느낀다. 또한 캡사이신이 든 음식을 약 43도 이상으로 데우면 온도에 비례해 더 맵게 느낀다.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포유류가 TRPV1을 갖고 있다. 그래서 매운맛 분자를 가진 식물을 주식으로 삼지 못한다. 하지만 태국 앵무, 카나리아 등 일부 조류는 열과 압력을 감지하는 수용체의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기존 전자칩은 신호를 읽는 채널이 늘어날 때마다 그에 비례해 잡음에 취약해졌는데,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여러 신호를 동시에 읽어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가로 2.3mm, 세로 1mm로 면적이 약 2.3mm2에 불과하다. 엄지손톱의 50분의 1쯤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외부 기온이 체온보다 낮은 경우 몸에서 체외로 발산하는 열에너지는 몸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키 180cm인 사람이 12.7cm로 줄어들면 길이(L)는 14분의 1, 표면적(L²)은 196분의 1, 부피(L³)는 2744분의 1의 비율로 변한다. 열에너지의 관점에서 만들어내야 할 에너지는 2744분의 1로 줄어드는데, 피부를 통해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성능을 판단하는 척도지. 시뮬레이션 결과 선수의 양항비는 골반 각도와 정확하게 비례했어. 그러나 골반 각도가 커질수록 비행은 불안정해져. 그러나 선수들은 불안정한 비행을 감수하면서 골반 각도를 크게 해야 먼 거리를 기록할 수 있어. 세계적인 선수들을 분석한 결과 골반 각도는 140°에서 16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