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료"(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먹여야 하거든요. 현재 전세계 곡식의 약 3분의 1은 사람이 아닌 가축이 먹고 있어요. 또 사료가 되는 곡식을 생산할 때 나온 탄소량은 고스란히 고기의 탄소발생량에도 더해져요. 그래서 고기의 탄소발자국이 큰 것이지요. 지구를 위해서는 고기만 많이 먹지 말고, 채소도 많이 먹어야 해요 ...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복어를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복어 독은 유독성 먹이로부터 유래하므로 무독성 사료만으로 키우면 독성이 없는 복어를 양식할 수 있다. 입맛 까다로운 미식가가 아니라면 맛도 그다지 차이가 없다고 하니 기대해 볼 만하다.복사꽃 피어도 황복은 오지 않는다?황복은 서남해로 흐르는 강에 ...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과학동아 l2010년 04호
- 것이 아니라 소나 바이오연료용 곡물을 생산하기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사료용 곡물을 줄이고, 식용 곡물을 늘리면 GMO의 존재가치는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채식주의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이 휘발유를 살 때 세금을 내는 것처럼 ...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이 색소가 함유된 먹이를 먹지 못하면 참돔의 붉은빛도 사라진다. 실제로 양식산 참돔은 사료만 먹어 카로티노이드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고 좁은 곳에 갇혀서 지나치게 많은 햇빛을 받기 때문에 멜라닌 색소포가 확장돼 몸빛깔이 검다. 참돔의 몸 곳곳에 박혀 있는 청록색의 반점 역시 피부 색소 ...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이빨 사이의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단단해야 하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섞어도 동물사료로 쓰기에 위험하지 않아야 한다. 또 낚싯대는 충분히 길어야 하지만, 보관하기 쉽도록 짧아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구성 요소를 미리 정리해둔다면, 어렵게만 생각되는 문제를 쉽게 ...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어째서 마이산에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일까.1928년 원불교 교단이 작성한 한 사료에는 역고드름에 관해 다음과 같은 언급이 나온다.‘마이산에서 청수를 떠놓고 기도를 드리면 물이 거꾸로 올라와서 얼음이 돼 불체로 화한다.’불심이 얼음을 위로 솟아오르게 했다는 뜻이다. 일부 역술가들은 ... ...
-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만드는 데 필요한 땅의 면적을 계산했다. 중간 크기의 개 한 마리는 보통 하루에 300g의 사료를 먹는데 이것을 성분에 따라 1년으로 계산하면 고기 164kg, 곡물 95kg가 나왔다. 같은 양의 닭과 곡물을 키우는 데 필요한 땅의 면적으로 바꾸니 8400m2(축구장 넓이는 7140m2)에 달했다. 다르게 표현하면 국내 ...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아래에 주요한 원인을 정리해 보았사오니, 꼼꼼히 살펴보시고 대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사료 되옵니다~.더워지는 지구바다 사막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우선 지구 온난화가 있다. 수온이 따뜻해지면서 수온에 민감한 해조류가 살 수 없게 되면, 이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동물들이 떠나 결국 갯녹음이 ...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증상을 보이는 쿠루병이 만연했다. 1979년 새롭게 정권을 잡은 영국 보수당 정부가 육골분 사료 제조공정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며 1980년대에는 광우병이 확산됐다. 1995년에는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먹은 사람이 최초의 인간광우병(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사망해 영국 ... ...
- 면발의 힘 글루텐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첨가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사람이 먹는 식품뿐 아니라 가축이나 애완동물, 물고기의 사료에도 글루텐이 많이 들어 있다. 단백질원이 될 뿐 아니라 단단하고 물에 잘 풀어지지 않는 콩알만 한 형태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밀알이 싹을 틔워 광합성을 하기 전까지 영양분으로 쓰이는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