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래톱
작은 섬
d라이브러리
"
산호초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산호와 1천여마리의 열대어가 살고 있다. 실내장식 음향 색채 기온 습도 등 열대 해양과
산호초
바다의 해변을 완벽하게 재현했다.열대 환경의 유지와 입장객수 조절을 위해 입출구는 원통문을 사용한다. 열대 해양을 방문한 뒤 곧바로 온대와 한대의 바다에 사는 생물들의 수족관을 보여줌으로써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조류를 따라 이동하고, 해수의 탄산가스 용해도가 높아지면 해저의 해초 및
산호초
의 성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저 생태계에 변화가 일어나 이 방법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화학적 고정/다양한 방법 시도${CO}_{2}$를 인공적인 방법을 통해 화학제품으로 만드는 ${CO}_{2}$ 고정화 ... ...
♀ ♂ , 왜 같은 비율로 태어나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새우의 일종은 어려서는 수컷이었다가 성장함에 따라 암컷으로 바뀐다. 이것과는 반대로
산호초
곁에서 서식하는 고기중에는 어려서는 암컷이었다가 자라면 수컷으로 변하는 것이 많다. 성전환은 어느 방향으로 또 어떤 시기에 생기는 것일까? 게다가 갯지렁이와 권패류 등에서 볼 수 있는 한개체가 ... ...
초대형 대합 인공 양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오랫동안 카톨릭 교회의 성수반(聖水盤)으로 쓰였던 거대한 대합(giant clam)을 식용화하는 작업이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실 그동안 대 ... 한 종(Tridacna gigas)은 수족관의 관상용이다.대합들은 해수탱크 안에서 일정 기간 자란 뒤
산호초
에 옮겨져, 그곳에서 자라게 된다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오아후섬의 경우 바다밑으로 사라져버린 땅이 현재 육지의 5배에 이른다.하와이제도는 과연 가라앉고 있는가.최근의 해양학연구는 하와이제도를 구성하는 20여개 ... 마찬가지로 오랜 세월에 걸쳐 계속되고 있는 이 현상은 특히 하와이제도 남동쪽의 섬과
산호초
들에서는 명백히 드러난다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잠수정은 레저스포츠용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멀지않아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앉아서
산호초
와 물고기가 놀고있는 용궁을 구경하게 될것이니 수중에 관한한 가위 유토피아가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공생의 대표적인 예로 꼽고 있는 말미잘과 오도케우오의 관계를 살펴보자. 남태평양의
산호초
군락에는 거대한 말미잘이 살고 있는데 이것과 공생하고 있는 것이 오도케우오다. 이 말미잘은 촉수에 있는 자포로 고기를 찔러 먹이로 삼는데 오도케우오만은 자포에 찔리지 않는다. 그 덕택에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산호초
에는 매우 많은 종의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그러면 왜 열대우림지역이나
산호초
에 생물의 종이 많이 분포할까. 그곳에는 수분이 늘 많이 있고 생물이 살기에 알맞은 기온이나 수온이 일년내내 별로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환경이 매우 안정돼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생물상이 펼쳐져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챔피언인 셈이다. 이매패인 부족류 중에서 제일 큰 것은 Tridagna gigas. 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
에 살며 길이가 1.5m, 무게가 보통 사람 체중의 세배가 넘는 2백25㎏이나 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이매패는 키조개(Pectina japonica)로 길이(각고)가 약 30㎝이며 서남해의 보성만 광양만 등지에서 많이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마취나 마비효과를 가져오는 것도 있다.해양생물 중 가장 심한 피해를 입는 것은 민감한
산호초
와 새우 갯지렁이 등 저생(低生)생물. 서울대 해양학과의 고철환교수는 "기름냄새를 맡고 도망칠 수 있는 어류와는 달리 해저에 반고착상태로 사는 생물은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며 "기름에 해를 입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