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
수학동아
l
2022년 10호
양이 많고, 공부하기 까다롭다고 유명한데 2017년부터 꾸준히 함께 공부한 끝에 얻은
성과
”라고 전했어요. 이 연구는 다른 수학자에 의해 검증하는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을 푼 수학자 “정수론은 규칙 찾기의 놀이터예요” 저는 정수론을 연구하는 카를로 ... ...
[5년 후, 과학은] 마법으로 되살아나는 꿈의 소재 트위스트로닉스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효율 면에서 월등해야 한다”며 “앞으로 3~4년 내에 트위스트로닉스에서 괄목할만한
성과
가 나온다면 연구 범위도 넓어지고, 더 많은 연구팀이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 ...
[과학뉴스] 단백질 구조 2억 개 품은 알파폴드2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다가왔다. 구글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알파폴드2(AlphaFold2)’의
성과
다. 알파폴드2는 단백질 100만 개의 구조 2억 개를 데이터베이스화했다. 7월 28일 구글 딥마인드는 영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를 발표했다. 단백질은 생물을 이루는 주요 구성 요소로, 생명 활동에 필요한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손 수석연구원은 “천문학자로서 과학적인 연구
성과
를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
성과
로부터) 무엇을 느끼고 공감할 수 있을지 찾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제임스웹의 여정에 모든 천문학자와 대중이 함께 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준이 높아져 선진국 위치에 섰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지난 20년간의 놀라운
성과
한국 수학의 발전을 보여 주는 여러 지표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로 세계수학자대회(ICM) 강연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2006 ICM에서 처음 황준묵 기초과학연구원(IBS)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연구를 토대로 2014 서울 ICM에서 초청강연자로 초대 받았고, 2016년에는 전산학 분야에서
성과
를 낸 만 35세 이하 수학자에게 주는 ‘프레스버거상’과 ‘유럽수학회상’을, 2019년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업적을 낸 만 40세 미만 또는 박사 학위를 받은지 10년 미만 미국 과학자에게 주는 ‘워터맨상’을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편견을 뛰어넘은 여성 수학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부탁했어요. 이때 가우스가 제 진짜 이름을 알게 됐지요. 어려움을 딛고 대단한
성과
를 남기셨더라고요! 저는 ‘소피 제르맹 소수’를 만들었어요. 어떤 소수에 2를 곱하고 1을 더한 값이 소수가 될 때의 소수를 말해요. 100보다 작은 모든 소피 제르맹 소수에 관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첫 인터뷰였다고 해요. 이후에도 는 교수님을 필즈상 후보로 점치고 주요 연구
성과
를 기사로 다뤘지요. 2018년 세계수학자대회 초청강연을 앞두고도 만나서 인터뷰를 했습니다. 앞으로 어떤 연구 결과를 가지고 에 등장할지 기대됩니다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분석하는 것처럼 대수학을 통해 기하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성과
를 바탕으로 조합론의 오래된 난제를 다수 해결해 ‘조합 대수기하학’의 아이콘이 됐지요. 허 교수의 특기는 대수기하학에 대한 강력한 직관에 바탕을 두고 조합론의 난제를 공략하는 것입니다. 두 분야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생명체(기하학 구조)가 존재 가능함을 암시합니다. 도식으로 보는 허준이 교수의 연구
성과
아래는 허 교수의 업적을 설명하는 도식입니다. 허 교수는 매트로이드로부터 사영다양체를 만들었고, 매트로이드의 특성 다항식의 계수가 사영다양체의 교차수와 같음을 증명했습니다. 이것이 허 교수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