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상세
면밀
세심
명세
내역
내용
d라이브러리
"
세밀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같은 문화재라도 다른 관점에서 관찰하고 싶다면, 디지털 모델만 조정해 그 부분만 더
세밀
하게 출력할 수도 있죠.” 문 박사의 요즘 고민은 개구리를 표현하기 위한 말랑한 재료 혹은 아이들이 입에 대도 안전한 친환경 소재로 교구를 만드는 것이다. “현재 팔리는 3D 프린터는 해당 업체에서 ... ...
[화보] 종이, 날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주인은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종이조각 예술가 디아나 에레라다. 에레라는
세밀
한 가위질로 새의 깃털을 표현하고, 종이조각을 이어 붙여 작품을 만든다. 경험을 바탕으로 무엇보다 자연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고, 그중에서 특히 ‘새’를 좋아한다. 남미 사람들은 새를 특별하게 ... ...
[과학뉴스] 기억 안 나세요? 눈 감으세요!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들은 것까지 증언하게 했다. 이번에도 눈을 감고 말한 그룹이 시각과 청각 정보를 둘 다
세밀
하게 말했다.로버트 내쉬 교수는 “면접관과 친밀한 상태에서 눈을 감고 대답한 그룹이 가장 편안하다고 느꼈다”며 “좋은 인터뷰 기술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과학뉴스] 더 자연스러워진 ‘생각으로 움직이는 로봇 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생각으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한층 더 자연스러워졌다. 미국 피츠버그대 생명공학과 제니퍼 콜린저 박사팀은 마비 환자들이 생각으로 움직이는 ‘마인드컨트롤’ ... 프로그램에 가상의 물체를 넣어 물건을 잡는 훈련을 시켰다. 환자는 이를 통해 팔을 더
세밀
하게 조정할 수 있었다 ... ...
2014 노벨 과학상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안에서 위치가 바뀐답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진을 찍어 다 합치면 물체의 모양이 아주
세밀
한 부분까지 나타나지요(사진). 과학자들은 이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세포의 내부를 더욱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됐어요. 노벨 물리학상물리학상은 일본 메이조대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사진 맨 왼쪽), ... ...
틀에 박힌 장난감은 바이바이! 내 맘대로 발명하는 4D프레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이 모든 것을 만들려면 어떤 재료를 이용하면 될까요? 찰흙으로는 공룡 뼈처럼
세밀
한 구조는 만들기 어려워요. 블록 장난감으로는 둥근 축구공을 만들기 어렵고요. 그래서 오늘 강우인 명예기자와 이가원 명예기자는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창의적으로 만들 수 있는 ... ...
우주에서만 신는 신발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있답니다. 우주비행사들이 이 신발을 신고 움직이면 근육과 골격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세밀
하게 분석하거든요. 신발 앞, 뒤꿈치와 옆 부분에 달린 센서가 블루투스를 통해 분석한 자료를 우주정거장으로 보낸답니다. 이 정보는 우주비행사들이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도와줄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작은 볼을 넣고 오므려야 하고 볼이 너무 빡빡하지도 느슨하지도 않게 조절해야 하는
세밀
한 작업이야. 볼의 크기가 0.2㎜로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볼을 넣어 만든 볼펜도 있어. 볼이 작아질수록 같은 1㎝를 그어도 볼이 많이 굴러야 하기 때문에 고장이 잘 나지 않게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출신 카레이서 루카스 디 그라시는 “다른 어떤 차와도 느낌이 다르다”며 “좀 더
세밀
한 조작이 필요하지만 그만큼 더 효율적”이라고 소개했다.머신의 심장은 엔진이 아닌, 전기모터다. SRT_01E의 전기모터는 중형차 수준인 200kW(270마력)의 출력을 낸다. 전기모터는 고회전에서 효율이 떨어지기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수각류지만 육식을 포기한 ‘테리지노사우루스’ 류의 알로 추정됐다. 알 껍질 단면을
세밀
하게 확대해 비교해 본 끝에 내린 결론이다. 연구가 이뤄지는 동안 키요시 씨는 발견에 대해 이야기하지 못했다. 논문에도 발견자로서 이름이 오르지 않았다. 화석을 소유할 수도 없고(몽골에서는 화석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