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리"(으)로 총 1,4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사용한 촬영기법을 ‘디지스코핑’이라고 부릅니다. 이 기법으로 날아가는 물수리를 정확히 기록해 주었네요! 궁금해요!김가윤 어린이 | 나그네 대원 Q 이 벌레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배윤혁 매미 연구원이 생물은 멋쟁이딱정벌레입니다. 따뜻한 계절에 주로 활동하는 곤충인데 월동에서 ... ...
- [인터뷰] "저 수학 좀 했어요!" 코미디언 황제성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유튜브까지 맹활약을 펼치고 있죠. 그런데 그는 2001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에서 1문제밖에 틀리지 않았던 수학 잘하는 이과생이었다고 해요. 이런 정보를 듣고도 가만히 있을 순 없죠. 지난 5월 30일 저, 이 기자가 황제성을 만나고 왔어요. 웃느라 중단될 위기가 여러 번 찾아왔던 ... ...
- [가상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 게’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원격 제어할 수 있어서 저는 작은 공간에서도 움직일 수 있어요. 작은 구조의 기계를 수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죠. 또 사람 몸에 들어가서 동맥을 청소하며 내부 출혈을 멈출 수도 있어요. 암 종양을 제거하는 외과의를 보조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어요. 여러모로 저에게 거는 ... ...
- [기획] 에드뢰시-그레이엄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6호
-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기획] 단위분수로 1을 만들어라! 에드뢰시-그레이엄 문제Part2. [기획] 에드뢰시-그레이엄 문제 한 눈에 파악하기Part3. [기획] 수학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제가 풀리다!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여러 분야를 잇는 작업인데, 그 작업에 치머만 교수가 도움을 준 셈이지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앙드레 오르트 추측은 정수론에서 굉장히 역사가 깊은 문제”라며, “이런 문제를 푼 것도 의미 있지만, 문제를 해결한 방법을 다른 문제에 적용하면 새로운 결과를 낼 수 있다”며 그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떠드는 게 시끄러우면 음성 모듈을 꺼 버릴 수도 있고.”우리 인공지능들은 살아가면서 수리를 하거나 낡은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모듈을 교체해 성장시킬 만큼 많은 경험을 하고 복잡한 시냅스를 형성한 인공지능들은 사람들에게도 인간 이상의 경험치를 지닌 유능한 파트너로 여겨졌다. 하지만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덧붙이며 어과동 독자들에게 마지막 이야기를 전하셨어요.“예전엔 우주인들이 우주선 수리가 필요할 때 밖으로 나가는 대신 로봇팔을 이용해서 고쳤어요. 로봇팔의 시작이죠. 요즘은 로봇팔이 의사를 대신해 환자에게 정밀한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는 공장형 로봇에서 ... ...
- [인터뷰] “빅데이터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아요”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학문, 데이터과학이 중요한 이유다.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 및 계산과학 연구단 CI)는 수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으로 사회과학 문제를 푸는 데이터과학자다. 그는 미국 페이스북,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등에서 일했다.“일상 속에서 접할 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1화. 마누팩토 행성의 프로보, 프로보, 또 프로보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둘러보기 시작했습니다. 공장 안내도를 살펴보니 공장은 생산 구역과 점검 구역, 수리 구역, 인공지능 설정 구역 등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프로보가 들어간 방은 점검 구역에 있었습니다.‘인공지능은 어떻게 태어나는지 궁금했어. 인공지능 설정 구역으로 가 보자.’딱지는 목적지를 ... ...
- [가상 인터뷰] 물고기도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고?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뺄셈에서 정답률은 69%로, 덧셈이 뺄셈보다 정답률이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이런 수리 능력이 제가 몸에 있는 줄이나 점 등을 세는 등의 방식으로 다른 개체를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어요. Q. 결과를 듣고 기분이 어땠나요? 물고기는 머리가 나쁘다는 편견을 깨뜨릴 수 있어서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