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리"(으)로 총 1,4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7월 5일 4시 주목! 존 필즈도 깜짝 놀랄 수학의 역사가 다시 써진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도대체 여기가 어디지? 자세히 살펴보니 다 수학자들이잖아?잠깐만, 젊은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인 ‘필즈상’을 받은 수학자도 있어.필즈상 메달에 그려진 아르키메데스, 심지어 필즈상을 만든 존 찰스 필즈도!전 세계 내로라하는 수학자들이 다 모인 거네. 축제다, 축제! ▼ 이어 ... ...
- [기획] 13억 상금이 걸린 문제가 약해가 2개라고? 나비에-스트로크 방정식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앗, 차가워! 인사하는 틈을 타 물총을 쏘다니. 나도 쏠테다!피융~ 피융~ 피융~ 물이 도넛 모양으로 나가는 내 물총을 받아라!가만, 도넛 모양 물방울이라....이거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S 방정식)’을 풀 비밀!우리 빨리 연구실로 가자. 아무래도 놀라운 발견을 한 것 같아! ▼ 이어지는 기 ... ...
- [기획] N - S 방정식의 약해는 2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건 밀레니엄 문제를 푸는 데에는 의미가 없다”라고 설명했어요. 정인지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장 르레의 약해가 하나가 아님을 증명한 최초의 시도이기에 의미 있는 결과”라고 밝혔어요. _ 인터뷰 “수학은 함께 하는 학문이에요!”달라스 알브리튼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
- [인터뷰] “빅데이터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아요”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학문, 데이터과학이 중요한 이유다.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 및 계산과학 연구단 CI)는 수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으로 사회과학 문제를 푸는 데이터과학자다. 그는 미국 페이스북,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등에서 일했다.“일상 속에서 접할 수 ...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여러 분야를 잇는 작업인데, 그 작업에 치머만 교수가 도움을 준 셈이지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앙드레 오르트 추측은 정수론에서 굉장히 역사가 깊은 문제”라며, “이런 문제를 푼 것도 의미 있지만, 문제를 해결한 방법을 다른 문제에 적용하면 새로운 결과를 낼 수 있다”며 그 ...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덧붙이며 어과동 독자들에게 마지막 이야기를 전하셨어요.“예전엔 우주인들이 우주선 수리가 필요할 때 밖으로 나가는 대신 로봇팔을 이용해서 고쳤어요. 로봇팔의 시작이죠. 요즘은 로봇팔이 의사를 대신해 환자에게 정밀한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는 공장형 로봇에서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떠드는 게 시끄러우면 음성 모듈을 꺼 버릴 수도 있고.”우리 인공지능들은 살아가면서 수리를 하거나 낡은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모듈을 교체해 성장시킬 만큼 많은 경험을 하고 복잡한 시냅스를 형성한 인공지능들은 사람들에게도 인간 이상의 경험치를 지닌 유능한 파트너로 여겨졌다. 하지만 ... ...
- [기획] 에드뢰시-그레이엄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6호
-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기획] 단위분수로 1을 만들어라! 에드뢰시-그레이엄 문제Part2. [기획] 에드뢰시-그레이엄 문제 한 눈에 파악하기Part3. [기획] 수학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제가 풀리다! ...
- [특집] 분수로 받은 주문서를 확인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네가 직접 주문서를 보고 알맞은 양의 간식을 손님에게 가져다드리렴.”분수 마왕이 수리에게 주문서를 내밀었어요. 주문서에는 ‘초콜릿 1/2+1/5’과 ‘롤케이크 3÷1/3’이라고 적혀 있었지요. 조각의 크기가 똑같아야 한다! 1/2+1/5만큼의 초콜릿이 얼마인지 구하기 전에, 먼저 두 수의 크기를 ... ...
- [가상 인터뷰] 물고기도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고?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뺄셈에서 정답률은 69%로, 덧셈이 뺄셈보다 정답률이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이런 수리 능력이 제가 몸에 있는 줄이나 점 등을 세는 등의 방식으로 다른 개체를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어요. Q. 결과를 듣고 기분이 어땠나요? 물고기는 머리가 나쁘다는 편견을 깨뜨릴 수 있어서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