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크릴수지
수지
애크릴
아크릴판
acryl
acrylic
Acrylic
d라이브러리
"
아크릴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인공조직 개발, 피부·근육·뼈도 바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하고 산소투과성이 높아야 한다. 초기의 딱딱한(하드) 렌즈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
간판용 플라스틱)로서 불편하고 산소투과성이 낮다. 현재의 소프트렌즈는 폴리수산화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서(함수율 40%) 편안하나 산소 투과량은 높지 못하다. 산소 투과량은 재질의 함수율이 높거나 ... ...
물리 - 놀라운 자기부상열차 운행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레일을 만들어 그 안에다 자석을 같은 극끼리 테이프로 일렬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아크릴
판으로 열차의 모형을 만들고 열차 속에 자석을 고정시킨다. 이때 주의할 점은 열차의 탈선을 막기 위해 바깥 레일의 높이를 5㎝ 정도 높게 설치해야 하고 부상한 열차의 높이를 맞추는 일이다.열차가 ... ...
물리- 증기보트 띄우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리키도록 고정시킨다.④ 보트가 똑바로 나갈수 있는 방향을 잡기 위해 책받침이나
아크릴
판으로 방향키를 만들어 끼운다.⑤ 물통이나 욕조에 보트를 띄운다. 구리관(엔진) 안에 물을 넣어야 하므로 한쪽관을 물 속에 담근 채 다른 한쪽 관에 빨대를 끼워서 물을 입으로 빨아 들인다⑥ 구리관 ... ...
치아 맞물림 부조화가 갖가지 증세 부른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것이 필요하다.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은 위아래 치아 사이에 투명한
아크릴
릭으로 된 장치(스프린트)를 끼우는 방법이다. 이는 치아의 교합관계를 이상적으로 만들어주어 근육의 긴장도를 낮추고 턱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치아 근육 턱관절의 상호관계를 조화롭게 ... ...
화학 - 분자의 질량이 크면 끓는점이 높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길고 가는 분자들이 얽혀서 덩어리를 이룬 것이다. 여기에는 폴리텐, 폴리에스틸렌,
아크릴
, PVC, 나일론 등이 있다. 이 플라스틱 내에서는 길이를 따라 원자들 사이에 강한 힘이 작용하지만, 얽힌 분자 사이에는 훨씬 약한 힘이 작용한다.이러한 구조는 플라스틱의 매우 중요한 성질을 결정한다. 길고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잠수함용의 폴리머제 수영용 근육을 설계하고 있다. 이들은 폴리
아크릴
산과 폴리비닐산을 조합하여 만든 '지능' 폴리머겔(polymer gel)에 전기를 주면 근육처럼 팽창하고 오그라들 수 있다는 점에 착안, 이 연구에 착수했다.샤힌푸어교수의 연구는 비단 군사용만 아니라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위층에서 생긴다. 이 사실을 알아낸 말로이교수는 폴리카보네이트 위에 입히는
아크릴
과 알루미늄 층(層)을 깨끗히 제거하는 기계를 개발했다. 즉 회전하는 나일론 솔(brush)을 제작, 이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위층을 깨끗이 벗겨낸 뒤 '알몸'이 된 폴리카보네이트에 다시 '새 옷'을 입힌 것이다. 국내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것이 흠이다(한쌍에 7천원).하드렌즈도 산소투과성렌즈화할 수 있다. 하드렌즈의 일종인
아크릴
수지렌즈에 실리콘(규소)이나 불소 등을 혼성중합하면 산소 투과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이 불소중합렌즈를 1년 이상 빼지 않고 연속착용해도 별 탈이 없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는데, 이런 렌즈가 ... ...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러나 가격이 싸(1~2만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최근에는 얇은 편광 필름을 유리나
아크릴
판으로 입혀 화면의 퍼짐현상을 제거한 편광 보안기와 멀티코팅 보안기가 개발돼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컬러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퍼짐으로 해상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하는데 ... ...
석면건축재 철거가 오히려 공해유발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석면이 계속 사용되는 이유는 마땅한 대체재료가 없기 때문이다. 그간 아라미드펄프나
아크릴
계의 유기섬유가 대체물질로 개발됐으나 건축재의 경우 시멘트와의 복합이 쉽지 않고 경제성이 낮아 실용화되지 못했다.한편 국내에서는 최근 초조법(抄造法)이라는 새로운 기술로 건축재용 보강판넬을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