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대기
에어로졸
로졸
에어브레이크
브레이크
d라이브러리
"
에어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는 사람은 사고를 막기 위해 모니터에 집중해야 한다.잠수부들은 진공청소기와 비슷한
에어
리프트를 사용해 물과 함께 진흙을 빨아들인다. 진흙 바닥에 묻힌 유물을 바깥으로 드러내기 위해서다. 빨아들인 진흙은 파이프를 타고 바지선으로 올라와 배 반대쪽 바다로 다시 떨어진다. 유물의 모습이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씨는 “외국 사례에서 낙하한 박스가 부서져 있는 것을 보고 박스 안팎에 폴리우레탄과
에어
캡을 붙여 낙하 시 발생하는 충격에 대비했다”며 “풍선을 띄울 당시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 박스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무사히 촬영에 성공해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필요해산업용으로 희소가치가 높은 헬륨은
에어
리퀴드(Air Liquide), 프렉스
에어
(Praxair),
에어
프로덕(AirProducts), 린데(Linde) 등 세계적인 회사가 공급권을 갖고 있다. 헬륨을 수입하는 나라는 주요 천연가스 생산국이나 헬륨 생산국 및 주요 헬륨 공급사와 협의해 자국 기업이 헬륨 생산에 참여하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1950년대 유나이티드
에어
의 여객기 승객들은
에어
컨 구멍에 자꾸 편지를 집어넣곤 했다.
에어
컨 구멍이 당시 우체통 구멍의 모양과 유사하게 생겼기 때문이었다. 또 트랜스월드 항공의 승객들 중에는 좌석 머리 위의 화물칸에 아이를 넣어두려는 엄마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해프닝을 거쳐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애플, ‘미니쿠퍼’의 BMW, ‘나이키
에어
’의 나이키…. 디자인으로 엄청난 성공을 일군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그런데 이 기업들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이유가 왜 하필이면 디자인일까. 애플컴퓨터에서 산업디자인 관리자였던 로버트 브루너와 기업문화 컨설턴트인 스튜어트 에머리는 공동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입체 투명망토는 연구자들의 오랜 숙원이었다. 독일 카를스루에 기술연구소 톨가
에어
긴 박사팀은 카펫형 투명망토 기술을 이용해 최초의 3D 투명망토를 개발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들 연구진은 메타물질에 얇은 금박을 씌워 어느 방향에서나 물체를 감춰주는 투명망토를 만들었다.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년대 초, 카바냐 교수는 실제로 그런지를 확인하기 위해 유럽우주국(ESA)의 무중력 비행기
에어
버스 A300에 직접 탑승했다. 걷기 연구의 동반자인 헤글룬트 교수도 동승했다. 비행기에 탑승한 카바냐 교수는 추를 하나 들고 있었다. 무중력 비행기가 중력의 값을 인위적으로 바꿔줄 때 진자 운동이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착지한다. 멀리 뛰는 것이 목적인 스키점프와 달리 빅
에어
는 다양한 연기가 목적이다. 빅
에어
는 아직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진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스키 패밀리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뼈대있는 스키 가족 멋쟁이 스키 친척 스키, 하늘을 날다 종이접기의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깨지고 고장이 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골판지 상자나 공기가 들어 있는
에어
캡도 이런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재료다.우주로 가는 포장우주인에게도 포장은 매우 중요하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지내려면 지구에서 음식을 가져가야 하는데, 이 때는 우주 환경에 맞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에어
스크러버는 소모하는 에너지가 너무 많아 비현실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만약
에어
스크러버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을 정도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인다면 그 파장은 대단할 것으로 전망된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