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술가"(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과학동아’ 특집에 소개됐던 합성생물학 실험실을 꾸릴 수도 있다. 실제로 뉴욕에서는 예술가들이 자그마한 실험실을 만들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조작해 바이오아트를 하기도 한다. 대신 장비 구입비용은 두 배로 껑충 뛰고, 필요한 공간도 두 배 이상으로 는다. 박테리아를 기를 때 풍기는 ...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중에 권좌를 지키고자 자기 자식을 잡아먹는 악행을 저지른다. 이 이야기는 많은 예술가에게 영감을 줘서, 루벤스 같은 최고의 화가들이 그림으로 남겨놓았다.신화까지 갈 것도 없이, 과거에는 멀고 낯선 나라를 탐험한 사람들의 단골 이야깃거리였다. 특히 유럽인들이 한창 세계를 탐험하던 ... ...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것은 쉽지 않다. 이런 방식에는 번뜩이는 창의력과 어느 정도의 요령이 필요하다.예술가가 좋아한 수식예가니는 작품 대부분에 삼각함수를 이용한다.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다른 수식으로도 멋진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 수 있어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해요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몇%쯤 함유돼 있는 고급 이벤트였던 것 같다. 꿈보다 해몽일지 모르지만, 역시 예술가다운 발상이었다(그 친구는 지금 영화감독이 돼 있다). 그런데 그 때 느낀 게 있었다. 혼자밥 모임의 회원들 다수는 나처럼 대2병에 취해 있지 않았다는 거였다. 그들은 정말 밥을 혼자 먹고 싶어 하지 않았다.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피보나치 수열로 했을 때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 완성됐어요.”그런데 잠깐, 애초에 예술가가 위상수학 강의를 들었다는 것부터가 예사롭지 않다. 수학을 좋아하지 않고서는 강연을 들으러 갈 리가 없지 않은가!“제가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된 건 너무나도 당연했어요. 1990년대 중반 우연한 기회에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문에 주로 먹을 이용해서 그렸던 게 아닌가 싶다. 반면 화려한 민화의 경우 이름 없는 예술가들의 작품이 많지만, 광물에서 얻은 무기 안료 덕분에 화려한 경우가 많다. 민화의 안료는 주로 웅황과 남동석, 공작석, 조개껍질 등을 곱게 갈아낸 뒤 아교에 섞어 만들었다. 광물 안료는 기원전부터 벽화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초파리를 봤으니까요. 아무도 그런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지만, 예술가라면 남들과 다른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작가는 이듬해인 1987년 여름, 곧바로 조사에 들어갔다. 그는 방사능 낙진이 집중적으로 떨어진 우크라이나 인근 스웨덴 외스터페르네보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법도 없다.김 그래도 터미네이터는 너무 나간 것 같다.(웃음)준 과학동아 2015년 11월호에 예술가의 화풍을 따라하는 딥러닝 프로그램을 소개한 적이 있다. 고흐의 그림을 기가 막히게 따라 그리길래, 기자의 사진을 모딜리아니 스타일로 그려달라고 부탁했었다. 그런데 결과는 형편없었다. 엄청나게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반갑습니다. 전 ‘Mr. 착시’입니다. 본명은 신경 쓰지 마시고, 전 예술가니까 Mr. 착시라고 불러주세요. 착시를 일으키는 작품을 보면 눈이 즐겁지만 직접 만드는 건 어렵다고요? 착시는 수학적인 예술이에요. 보는 사람의 시선을 따라 조금만 계산하면 생생한 착시를 만들 수 있지요.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이다.분명 한국에도 사람들을 놀랠 빼어난 예술가가 있을 것이다. 그들이 표현활동을 통해 고통을 줄이고, 사람들과 교류할 날을 고대한다.오스트리아 작가 하인리히 라이젠바우어의 작품 ‘사과(위)’와 ‘딸기’. 같은 개수씩 줄 맞춰늘어놓은 듯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