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정"(으)로 총 4,02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다누리가 찍은 ‘지구돋이’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이후 50여 년 만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 계획’의 시작을 알렸어요. 작년 11월 아르테 ... 입장권을 드립니다.★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3월 2일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 [시사과학] 날짜 지난 음식 더 이상 버리지 않아도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모든 식품에 소비기한을 표기하는 제도를 도입해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꿀 예정입니다.유통기한은 1985년에 처음 도입되어 지금까지 38년 동안 표기되어 왔어요. 유통기한이란 상품이 마트나 상점에서 유통될 수 있는 기한으로, ‘사고 팔 수 있는 기간’을 뜻합니다. 유통기한이 판매자 중심의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초과학은 결국 사람을 향한다 2011년 첫 삽을 뜰 당시 라온의 완공은 2017년으로 예정돼 있었다. 이 일정이 2019년 완공, 2021년 완공까지 미뤄지다 2021년 9월엔 다시 2027년 이후로 늦췄다. 중이온가속기는 ‘거대과학(big science)’ 프로젝트다. 거대과학 프로젝트가 준비 단계에서 부침을 겪은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투닝엔 텍스트를 이미지로 바꾸는 AI(확산 모델)가 적용됐어요. 2023년 2월 업데이트 예정인 투닝은 그림을 못 그리는 사람도 글만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최초의 한국어판 그림 생성 AI가 될 거예요. 지금은 웹툰 한 컷만 제작해 주지만, 향후엔 캐릭터를 고정시켜 연재물이 가능하게 발전시키고 싶어요 ... ...
- 플레이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래서 이번 호를 더 재밌게 봤나 봐요. 박정주(via**)영화 ‘장화신은 고양이’를 볼 예정이었는데, 표지에 나와 반가웠어요! 무슨 내용일지 기대됩니다. 4행시뽐내기여러분의 4행시를 마음껏 자랑해 주세요. 친구들의 많은 참여 기다릴게요! 2월 1일 자 미션북극진동1월 1일 자 미션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인류세의 기준이 될 표준 지층을 고르고 있다. 이르면 올 상반기에 그 장소를 결정할 예정이다. 어쩌면 우리가 새로운 지질시대가 정해지는 역사적인 순간을 목격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인류의 시대, 인류세가 도착했다 지금 글 읽기를 멈추고 창밖을 보라. 혹시 인간의 흔적이 전혀 없는 곳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곧 광양제철소에 적용돼, 슬래브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전기에너지로 재활용할 예정이다. 중희토 사용 반의 반으로 줄인다 ‘중희토 저감 영구자석’도 연구 주제다. 중희토는 희귀 금속인 희토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무거운 원소를 뜻한다. 단기적으로는 영구자석에 사용하는 중희토 양을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고래 모형을 만들어 봐요!신청 기간 2023년 1월 31일까지당첨자 발표 2023년 2월 1일 예정신청 방법 팝콘플래닛 공지사항에 올라온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귀뚜라미 로봇을 만들고 싶다면?•www.dsstore.kr•02-6749-391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Midjourney)가 그린 그림은 미술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가을엔 OpenAI가 출시할 예정인 자연어처리 AI, GPT-4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튜링 테스트는 기계와 인간을 구분하기 위해 고안된 시험이다. 이런 사례들은 AI는 넘보지 못할,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 ...
-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 예측한 이유다. 에너지 상용화까지 가는 길은 험난할 예정이다. NIF의 ‘관성 가둠 핵융합’ 연구는 수소 폭탄 개발에서 태동해 현재도 무기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황용석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NIF가 즉 무기 개발 비중을 줄이고 에너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