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수역
배수 구역
배수 분지
골짜기
d라이브러리
"
유역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중부 대평원지역과 프레이리지역, 아르헨티나에서 우루구아이에 걸친 라플라타강
유역
의 팜파지방이다.이 지역은 세계의 곡창지대라고 불릴 만큼 곡물농업에 가장 유리한 비옥한 온대초원지역의 토양을 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지방이나 프레이리 지방의 농업은 거의 비료 없이 이루어지는데,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CO}_{2}$고정이 활발하다. 만약 연 2천만㏊의 열대림이 태워진다면(아마존강
유역
에서 개발 및 농토화를 위해 실제로 시행되고 있음) 60억t이라는 막대한 ${CO}_{2}$가 방출된다. 어린 수목은 1㏊당 1년에 10t정도 성장이 현기술로 가능하다. 이 10t의 유목이 연 약 15t의 ${CO}_{2}$를 흡수한다. 만약 성장이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해당하는 사막지대로 나눌 수 있다.황토와 황진 속에 묻혀 사는곳중국 황하
유역
의 문화는 황토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다. 북경에서 서안 난주를 거쳐 서역에 이르기까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이곳 주민들의 생활은 온통 황토와의 싸움이기 때문이다. 서안중심의 위수분지 일대는 연강수량이 5백㎜ ... ...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서식지로 가장 적합한 곳은 열대지방이다. 산타 세실리아라 불리는 에콰도르의 아마존강
유역
에는 80여종의 개구리가 발견되고 있다. 이 지역에는 개구리가 어떻게 해 육지로 진출했으며 왜 올챙이 단계를 생략했는가 등을 알 수 있는 여러종의 개구리가 서식하고 있다.양서류의 알은 어류의 알과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 물을 나르는 사람의 모습은 바빌로니아의 골동품에서 발견된다. 서남 아시아의 강
유역
에 살던 사람들에게 이 별자리는 물의 중요성에 대한 하늘의 상징물이었다. 이집트 시대 동안,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이었으며 매년 홍수가 지면 특히 기억되었다. 먼 옛날 중국에서도 이 별자리는 물과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황화강
유역
의 벼가 만주를 거쳐 압록강 대동강
유역
을 따라 한강 이남으로 이어진 육로, 그리고 산동반도에서 여순반도를 거쳐 대동강변에 이른 해로로 유입됐을 것이다. 이중에서 가장 믿을 만한 것은 산동반도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에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지역이다. 이 지역은 해발 1백m 이하 지역이 반 이상을 차지하며, 그 동쪽 예니세이강
유역
일부를 제외하면 전 지역이 오브강의 수계(水系)를 형성하는데, 이 강은 러시아 최대의 북류하는 강이다.오브강은 흐름이 완만하고 폭이 1백㎞ 이상 달하는 곳이 많으며 홍수가 잦은 강이다. 특히 얼음이 녹는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자발적인 참여로써 공장폐수와 각종 오수의 유입량을 꾸준히 감소시켜 왔고 과학적인
유역
관리로 비점원(non-point source) 오염을 크게 줄여 오던 각국에서는 강이 다시 오염되는 것이 가장 가슴 아픈 일이었다. 자신의 식수가 오염되는 문제보다 다시 강이 죽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더 컸던 ... ...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중국인들은 이곳을 중앙황토고원이라 부른다. 중국에는 황토고원 외에도 만주 송화강
유역
, 산동반도, 화북평야 등에 황토지대가 필쳐져 있다. 학자들에 의해 뢰스로 확인됐거나 그와 유사한 황토층들이 곳곳에 쌓여있는 것이다. 세계 최대의 풍적토지대황토고원의 뢰스들을 세분하면 니토(泥土,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걸쳐서 침식을 일으켜 이토록 거대한 협곡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유역
면적이 프랑스의 크기와 비슷한 콜로라도강은 유량이 크고 하천의 경사가 급한 편이어서 평균 50만t의 토사를 매일 실어나르고 있다. 하천유량에 포함된 진흙 모래 자갈 등의 하중은 하천바닥이나 측면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