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공학"(으)로 총 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6월 29일 고등과학원에서 제2회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한국여성수리과학회(KWMS)와 엔씨문화재단이 업적이 뛰어난 만 40세 이하의 한국 젊은 여성수학자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상이지요. 올해에는 순수수학 분야에서 이영애 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응용수학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6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국가별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은 한국이 98.2kg으로 세계 1위다. 1인당 연간 포장용 플라스틱 사용량도 한국이 64.12kg으로 미국(50.44kg)과 중국(26.73kg)보다 많다(2017년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자료). 최근 재활용 쓰레기 대란의 핵심은 플라스틱이다. 버려지는 고체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는 분주했다. 온 세계가 말 한마디, 동작 하나에 주목하고 있었다.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기 때문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 날 싱가포르에서 첫 북-미 정상회담을 갖고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결국 세균과 바이러스의 전쟁에서 나온 진화적 산물”이라며 “이를 인류가 유전공학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연 예고: 김 교수는 “수만 년에 걸친 인류의 역사에서 유전정보 전체가 단 한 번의 단절도 없이 대물림됐다”며 “이런 엄청난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강연에서 설명할 ...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몇 년 전만해도 우리가 먹는 약품은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해서 만들었지만, 최근 유전공학 등 생명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바이오 의약품이 많아졌다. 화학약품은 질병을 완화하는 기능 외에 다른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이 있지만, 바이오 의약품은 생체물질을 이용하는 만큼 부작용이 적다.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아이언맨, 토르, 헐크, 닥터 스트레인지, 블랙 위도우, 블랙 팬서, 스타로드, 가모라, 그루트, 로켓 라쿤…. 다 열거하기도 숨이 찰 정도입니다. 마블 스튜디오의 슈퍼히어로 22명이 총출동하는 영화 ‘어벤져스:인피니티 워’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과학동아가 뽑은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금융] 100만 명 가명 데이터 분석_개인정보 유출 원천봉쇄 동형암호는 현재 실용화를 위한 사전 테스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진척이 가장 빠른 분야는 금융 업계다. 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는 현재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와 공동으로 동형암호 프로그램 ‘혜안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 봤지? 우리 소똥구리는 생태계에 이렇게 쓸모가 많은 곤충이라고. 그런데 몽골 소똥구리가 한국으로 가면 서식 환경이 달라질 텐데 잘 살 수 있을까? 몽골 소똥구리와 토종 소똥구리는 한 가족!몽골에서 살고 있는 소똥구리를 우리나라에 복원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과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 편집자주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GIST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소외 질병을 ...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보톡스의 ‘친자 확인’을 둘러싼 국내 대형 제약사들의 법정 다툼이 2년째 계속되고 있다. 국내 최초의 보톡스인 ‘메디톡신’을 개발한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자사의 보톡스 균주를 훔쳐 또 다른 보톡스 의약품 ‘나보타’를 만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대웅제약은 “공장 주변의 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