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대
불평
불찬성
이의 유보
배척
이설
반대의견
d라이브러리
"
이의
"(으)로 총 488건 검색되었습니다.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부피를 바깥치수가 아닌 안치수로 구하지요.이것을 바로 ‘들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들
이의
단위는 cm나 m를 세제곱한 것도 쓸 수 있지만 간편하게 나타내기 위해 리터 L를 사용합니다. 1L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10cm인 정육면체 용기에 액체가 가득 찼을 때 액체의 부피를 말합니다. 물론 안치수로요. ...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었어요~.”아래는 우리 목소리를 녹음해서 분석한 화면이야. 배명진 교수님께서는 예림
이의
목소리는 너무 작고 자신감이 없다며, 더 당당하게 이야기 하라고 말씀해 주셨어. 휘제는 입을 크게 벌리고 목소리에 굴곡을 넣으면 더 다정하게 들릴 거래. 둘 다 목소리의 끝을 경쾌하게 올리면 아빠의 ... ...
[Issue & Math] 수학을 그린 화가 브네의 작업 노트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지키지 않는 조형 세계를 보여줬다는 평을 받았다. 1988년에는 장 루이 마르니토키 베네
이의
발레작품인‘졸업’의 음악, 안무, 무대디자인, 의상디자인을 담당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자신이 작곡한 음반을 발매했으며, 영화제작에도 관심을 보인 그는 단편영화를 포함해 다섯 작품을 제작했다. 그의 ... ...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덕만(선덕여왕)이 아주 명민했다고 기록하고 있다.하지만 근대 과학은 이 이야기에
이의
를 제기한다. 선덕여왕의 말이 틀렸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근 나비가 ‘향기로운 꽃’을 찾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꽃’을 찾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조지타운대 마사 바이스 박사는 ... ...
6층 아파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득이는 가운데 줄이 됩니다. 순돌이는 만득이 앞자리이므로, 소연이 만득이 순돌
이의
자리가 확정됩니다. 마지막으로 희경이는 예은이 바로 뒷자리라는 문장에서 나머지 자리를 모두 알 수 있습니다. 이달의 퍼즐 6층짜리 아파트에 한 층에 한 명씩 6명의 아이들이 살고 있습니다. 다음 글을 보고,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실제 연구 결과물을 통해 어떤 과정으로 연구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다른
이의
연구를 한 번 따라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주제가 같아도 실험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오고, 같은 결과라도 해석방법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습니다. 과학의 역사에서 모방을 통해 새로운 연구를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한민국에 가속기 열풍이 불고 있다.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기초과학실험에 필수적인 가속기를 건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대형 가속기 건 ... 꼭 필요하다. 기초과학기술을 거머쥔 국가가 미래 강대국으로 부상할 거라는 데
이의
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사람이 구사하는 언어를 이해해야 한다.제퍼디에는 단어의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동음
이의
어를 이용한 질문이나 농담이 섞여 있는 질문, 수수께끼 같은 재미난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따라서 기존의 인공지능 컴퓨터가 문제를 풀기란 만만치 않다.예를 들어 보자. “40년에 걸친 두 독일인의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장치를 본 순간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지름이 50cm쯤 되는 길쭉한 드럼통이 약 4m 높
이의
천정에 매달려 있는 게 전부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드럼통은 내부에 진동자와 진동 속도 측정기 등 각종 장치를 포함한 냉각 시스템으로 통 자체가 돌아간다고.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 실험이기 때문에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홈페이지가 소개돼 있다. 홍 교수는 “세계그래핀학회는 김 교수가 노벨상을 받았어도
이의
를 제기할 사람이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김 교수가 가임 교수팀과 함께 상을 받기에는 ‘2%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김 교수의 2005년 양자홀 연구가 가임 교수가 개발한 스카치테이프 방법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