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산
재물
소유물
재화
금품
부
소지품
d라이브러리
"
재산
"(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예측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지진은 인류에게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는 자연재해라고 볼 수 있다. 한 순간 발생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빼앗는다. 사고 ... 뜻도 아니다. 지진에 대한 적절한 대비만이 향후 있을 큰 지진으로부터 인류의 생명과
재산
을 보호하는 지름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전현직 뉴욕시장에 대한 지식그래프 검색 결과가 다른 이유도 현 뉴욕시장은 많은
재산
이 관심사이지만 전 시장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지식그래프 검색은 검색어간의 관계도 보여줄 수 있다. 위대한 과학자 퀴리 부인을 검색하면 기본적인 정보 외에도 남편인 피에르 퀴리와 2명의 자식 중 한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능선을 타고 경주까지 번졌다.이 산불로 축구장 28개 만큼의 산림이 불타고 40여억 원의
재산
피해가 생겼다.불이 나는 것은 한순간이지만 그 한순간은 수 년~수십 년 동안 자라온 숲을 검은 폐허로 만들어버린다. 재로 뒤덮인 공간은 다시 복구되지 않을 것처럼 허전하고 보고 있노라면 가슴도 까맣게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짐작해 볼 수 있다. 당시 강원도 동해시에 나흘간 102.9cm나 눈이 내리는 등 717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약 30cm의 눈이 온 경북 경주시는 주요 도로는 빠른 제설 작업으로 27%만 통제됐지만, 차선과 인도의 구분이 없는 작은 규모의 이면도로는 75%가 통제됐다. 길 세 개 중 하나는 막힌 것이다. 30cm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중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도 폭설로 전기가 끊기고 도로가 마비돼 천문학적인 규모의
재산
피해가 생겼다. 우리나라도 강원도 동해시에 1m가 넘는 눈이 쌓이고 동해안을 중심으로 폭설이 쏟아졌다. 꽁꽁 얼어붙은 도로 제설제로 녹인다지구온난화로 점점 폭설이 심해진다는 말을 듣고 걱정이 ... ...
닥터 그랜마 지구정복자노벨상을 노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부자가 되었지. 하지만 노벨은 자기 발명품이 세계를 위협할까봐 걱정했어. 그래서 자기
재산
을 스웨덴 과학아카데미에 기부하고, 과학 발전과 세계 평화를 위해 써달라는 유언을 남겼단다 지구를 정복할 때 필요한 과학연구는?여기가 노벨상을 시상하는 스웨덴 스톡홀름이구나. 세계 곳곳에서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일리아드’를 보고 감명을 받은 슐리만은 고대 그리스 도시 트로이를 찾는데 전
재산
을 바쳤어요. 결국 1871년 트로이로 추정되는 도시 유적을 발견했지요. 아홉 층의 유적 중에서 2층이 트로이 도시 유적이라고 확신한 슐리만은 그 위에 있던 일곱 개 층을파헤쳐 버렸어요. 그런데 슐리만이 ... ...
[12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과제’는 기사를 뒷받침할 수 있는 데이터가 눈에 띈다. ‘기후변화에 의한 시설물의
재산
피해’ 통계자료를 인용했고 정상섬 교수가 강연할 때 언급한 내용도 충실히 반영했다. 특히 집중호우에 따른 산사태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공학적 기법을 친절히 설명해 토목공학이 기후변화와 관련해 어떤 ... ...
사회기반시설물 파괴와 산사태, 환경토목공학의 과제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기후변화에 의한 시설물의
재산
피해’ 통계에 따르면,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사이의
재산
피해가 2조 2천억 원에서 9조 9천억 원까지 늘었다. 소방방재청의 통계에서도, 자연재해로 인한 농경지와 선박의 피해가 각각 6%와 0.3%인데 비해 공공시설 및 건물의 피해는 84%를 차지한다(2008년 기준).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편은 아니었다. 인류는 만성적인 가벼운 공복에 적응했다.이후 농사가 시작되면서
재산
과 먹거리 축적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전보다 가난해졌고 평생 심각한 굶주림 에 시달리게 됐다(과학동아 11월호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참조).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