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주"(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않은 종인 경우가 있거든요. 제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해 보고한 줄무늬쥐치도 제주도 동문시장에서 쥐치라는 이름으로 팔리고 있었죠. 배로 잡기 힘든 종은 스노쿨링이나 다이빙을 해서 직접 채집한답니다.심해 물고기의 유전자는 모두 비슷하다?! - 김경무저는 동해 깊은 곳에 사는 어류의 ... ...
-
- 난민 신청자가 급증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난민법은 폐지할 수 없으나 난민 지위 심사를 엄격하게 하겠다고 답했어요. 이에 제주난민인권범도민위원회와 난민네트워크는 “난민과 난민 신청자 차별에 대한 대책이 없다”며, “정부는 인종차별주의를 극복하는 난민 정책을 만들라”고 강조했지요. 이처럼 난민 보호 문제는 뜨거운 ...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들려주세요.지금 한국 상황에 대해 인터넷으로 보았어요. 제주도에 있는 예멘인이 SNS에 글을 올려주고 있거든요. 예멘인이 전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왔다는 걸 이해해주면 좋겠어요. 전쟁이 끝나면 언제든 예멘으로 돌아가고 싶어 할 거예요. 또 예멘인은 언제든 일할 준비가 ... ...
-
- Part 2. 바다에서 폭풍을 기다린다! 웨이브 글라이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제주특성연구실 손영백 선임연구원은 “웨이브 글라이더를 이용하면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한반도 방향으로 북상하는 태풍을 미리 관측할 수 있다”며, “앞으로 웨이브 글라이더를 이용해 한국에 다가올 태풍의 세기와 방향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 제주도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무리를 가리키며 말했어요. 제돌이는 불법 포획되어 돌고래쇼에 동원되었다가 2013년에 제주도 바다에 방류된 남방큰돌고래지요. 그런데 김미연 연구원은 어떻게 멀리서도 제돌이를 알아볼 수 있었던 걸까요?“등지느러미의 모양으로 알아볼 수 있어요.”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 모양을 비교해서 12 ...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영롱하게 빛나는 초록 갑옷, 비단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번만 나타나는 데다 그 수가 적어 직접 보기는 무척 힘들어요. 과거 남부 해안과 지리산, 제주도 등에서 나타난 기록이 있지만 지금은 변산반도와 밀양에서만 아주 가끔 발견되지요.사실 과학자들은 우리나라에 사는 비단벌레가 일본과 중국에 사는 비단벌레와 모양이 비슷해 서로 같은 종이라고 ... ...
-
- Part 5. 2017년 한반도 열대과일 재배 현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따뜻한 남쪽에서 재배되던 과일들이 점차 북쪽으로 올라오고 있는 거죠. 예를 들어, 제주에서 주로 재배되던 감귤은 내륙으로 올라와 통영, 진주에서 재배되고 있답니다. 또한 사과의 경우, 대구에서 주로 재배되던 것이 강원도 정선 지역까지 올라왔지요. 일부 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이런 추세로 ...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비 지원 체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를 포함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제주 앞바다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연구를 진행해 오면서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를 지속할 새로운 동력으로 펀딩을 기획했다. 펀딩의 주제는 돌고래 연구 ‘굿즈’다. 펀딩을 통해 ...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제주 용수리 해상면에 설치된 파력발전소는 2016년 준공된 국내 최초의 파력발전소로, 제주 지역 주민들에게 연간 580MWh(메가와트시) 규모의 전력 생산 및 공급을 목표로 운영 중이다. ● 친환경 에너지 도시 환경오염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에 맞게 ...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동아시아의 지구조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퍼즐인 이유다. 김 연구원은 “약 5000년 전 제주도와 울릉도, 백두산에 화산 폭발이 일어났던 기록이 있지만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가넷과 페리도트 같은 지시 광물 연구가 화산 분출의 원동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