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리
잴리
쩰리
한천
캔디
jelly
d라이브러리
"
젤리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성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만든 다음
젤리
와 섞어서 작고 미세한 유리구슬(glass beads) 표면에 발랐다. 이렇게
젤리
가 발린 유리구슬 한쌍을 새우에게 주었더니 Amy ${Ⅱ}^{52}$에 의해 분해된 녹말의 당 산물이 발린 유리구슬이 제공되었을 경우 갈파래의 당 혼합물보다 창자파래의 당 혼합물이 선호되었다.그러나 이형효소 Amy ${Ⅱ ... ...
1 생물의 모든 변화현상 매개하는 생명의 근본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말을 사용했다. 그러나 생물 물질에 존재하는 촉매의 확인은 그 이전인 1835년에 베르
젤리
우스(Berzelius) 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감자 속에 전분의 분해를 촉매하는 물질이 있음을 알아내고 촉매라는 말을 처음 도입했다. 그후 프랑스의 파스퇴르(Pasteur)는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당이 분해되어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공막에 의하여 지탱된다. 눈의 하얀 부분으로 보이는 것이 공막이다. 각막을 지난 광선은
젤리
와 같은 수양액을 횡단하여 동공을 통과한다. 동공은 홍채의 중심에 있는 구멍이다. 홍채는 사진기의 조리개처럼 동공의 크기를 자동 제어하는 볼록렌즈 모양의 수정체로 가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동공과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최근 실시된 방법은 2-8개의 세포로 구성된 인간배자에게 세포를 분리시킨 뒤 여기에
젤리
와 같은 물질로 인공 투명대를 만들어 세포 분열을 유도, 각각 3배씩 세포 증식시켜 48개의 수정란을 복제하는데 성공한 것. 즉 하나의 수정란에서 일란성 쌍둥이, 세쌍둥이, 네쌍둥이… 48쌍둥이를 복제할 수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들이 사용한 방법은 2-8개의 세포로 구성된 인간배자에서 세포를 분리시킨 뒤 여기에
젤리
와 같은 물질로 인공 투명대를 만들어 세포분열을 유도, 각각 3배씩 세포증식시켜 48개의 수정란으로 복제한 것.할구는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투명대만 잘 보존해주면 분열을 거듭해 본래 상태대로의 배자의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친다. 장어는 일본 뿐 아니라 독일의 '아르 슈페', 덴마크의 장어찜 샌드위치, 영국의 장어
젤리
등에도 주재료로 활용된다. 이를테면 장어는 여러나라 공통의 보신용 식품인 것이다.한편 우리나라의 영계백숙은 햇병아리에 찹쌀과 마늘을 넣은 뒤 고은 것이다. 삼계탕에는 인삼 대추 찹쌀 밤 등을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일으킨다. 미국 메이저리그의 투수들 중에는 침 대용으로 땀 샴푸 주스 바셀린 피임용
젤리
까지 반칙투구에 활용하는 선수도 있다.또 모래나 금속으로 공의 표면에 상처를 내기도 한다. 이럴 경우 상처부위가 더 많은 공기저항을 받게 되므로 공은 그 반대쪽으로 변화하게 된다.요즘 프로야구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함량은 재래포도보다 훨씬 적게 함유돼 있다.포도에는 특히 펙틴의 함량이 많아 잼과
젤리
로 가공하는데 주역할을 하며 장내에서 담즙과 중성지방의 배설을 촉진하여 심장혈관계 질환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과식하면 뚱보가 될 수도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과일은 종류마다 각기 함량의 차이는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난자의 이동속도가 증가, 착상이 방해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기타정제
젤리
제 페사리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남성의 피임법으로는 콘돔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영구피임법으로 남성의 정관을 결찰하는 방법과 여성의 난관을 결찰하는 방법도 있다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몸속으로 빨아 들인다. 이것은 아직 한번도 보지 못한 것이다. '메두사'라는 아주 가벼운
젤리
와 같은 물고기도 심해에서 산다. 수집된 30종의 표본 중 반이 처음 알려진 것이다."바다속의 소리는 '바디의 빛' 이라고 불린다. 소리는 바닷물속 세계의 생물들에게는 시력과 같다. 소리는 물고기를 부르고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