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포수
급류
낙수
d라이브러리
"
폭포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50년대 쿠바 열대우림을 탐험하고나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탐험을 진행하는 동안 정글속에서 유일한 적은 모기뿐이었다.땀에 젖은 몸통을 통째로
폭포
속에 던지는 듯한 소나기를 만날 때는 앞이 안보이다가도 비가 그치면 언제 소나기가 왔었느냐는 듯이 잊어버리고 아름다운 꽃을 찾아 헤매던 추억이 30여년이 지난 지금도 아련하다. 탐험을 마치고 ... ...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계기로 본 현대교량 그 종류와 장단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41m에 달하는 브리타니아교(Britannia Bridge)가 건설되었다. 1855년에 미국에서는 나이아가라
폭포
하류에 철도교와 도로교를 겸한 나이아가라현수교가 뢰블링(Roebling)에 의해 건설됐다.현수교에서 사장교로1796년 핀리(James Finley)에 의해 세계 최초로 현수교의 장을 연 미국은 1855년 나이아가라 현수교, 188 . ...
로키 고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5만1천㎢에 달했다.폐쇄된 내륙거대호수의 수면이 상승, 여러 곳으로 범람했다. 그중 거대
폭포
형태로 흘러내렸던 곳이 아이다호주의 아이다호
폭포
(Idaho Falls)다. 그 마을중심지 주변은 당시의 하상으로 지금도 바닥이 반들반들하다. 보네빌화석호수는 오늘날의 그레이트 솔트(Great Salt)호수로서 ... ...
지상에서 가장 큰 생물체 '거물 곰팡이'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미시건주의 크리스털
폭포
주변에서 세계에서 가장 크고 나이가 많은 생물체가 발견됐다. 그것은 청고래도, 자이언트 세콰이어 나무도, 이미 멸종한 메머드도 아니다. 엄청나게 큰 곰팡이다.이 곰팡이의 나이는 1천 5백~1만세로 추정되는데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에 지구상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활동을 한다.■ 1701 바이러스다른 이름으로 떨어지는 눈물(Falling Tears) 바이러스, 작은
폭포
(Cascade) 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 바이러스가 작동 되었을 때 화면에 있는 문자들을 화면 밑으로 떨어뜨리는 특징이 있다. 1701 바이러스란 이름은 이 바이러스가 다른 com파일을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울릉도 주변해안에 관입 암맥(dike)이 굉장히 발달해 있다는 것도 특징입니다.사회 봉래
폭포
근처에서 본 자연에어컨의 원리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김두석 자연에어컨의 입구가 되는 산 정상의 공기는 출구쪽의 뜨거운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겁습니다. 이 공기는 출구로 나올 때 급격하게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채집했다. 서늘하기가 에어컨을 틀어놓은 것같다해서 자연에어컨이란 별칭이 붙은 봉래
폭포
아래의 풍혈(風穴)은 울릉도 내의 몇 개의 풍혈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 그러나 그 성인(成因)에 대해서는 탐사단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오후 일정은 울릉군 교육청에서 이 지역 토박이이자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주로 살고 있는 지역이 파괴되면 그 종은 절멸될 수 있다. 제주새뱅이의 운명도 천지연
폭포
상류에 인가가 많아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들 이 뛰놀던 물이 생활폐수와 농약으로 인해 오염됨으로써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도 위기상태 생물 많아열대우림지역의 경우, 원래 삼림이 덮고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폭포
는 어떻게 형성됐을까? 경사진 계곡뿐만 아니라 평지의 하천, 바다와 접한 해안지역에도
폭포
가 만들어진다.우리의 마음을 항상 상쾌하게 해주고 정서를 안정시켜 ... 배후산록에 위치하고 있으나 규모가 작은 편이고 제주도의 남부 해안에 정방 천지연 천제연
폭포
가 위치하고 있다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소음은 원하지 않는 소리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우리 인간이 만들어낸 소리다.심산계곡의
폭포
소리는 우리에게 꿈과 희망과 활력을 준다. 깊은 밤의 천둥번개소리에 비록 잠에서 깨기는 하지만 웬지 싫지는 않다. 자연의 소리인 이들은 어마어마하게 큰소리이긴 하지만 소음으로 느껴지지는 않는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