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대"(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같은 과학과 종교의 관련성도 다뤘다.그리고 올해 9월 네 권이 추가로 출간되며 한국 근현대 과학 문명 서술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 대장정의 마지막을 장식한 책은 ‘한국의 술수과학과 문명’이다. 천문, 역법, 풍수지리 등을 다루는 학문인 술수는 원시시대 이래 한국과 동아시아 사회에서 줄곧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9 장. 역설의 꼬리표 달린 정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설명해야겠네요. 공리란 수학자들이 증명 없이 받아들이는 명제입니다. 일반적으로 현대 수학 기초론에서는 총 9개의 공리를 사용합니다. 선택 공리는 그중 하나예요. 내용이 추상적이어서 어렵게 들리는데,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3개의 서랍으로 된 서랍장을 떠올려 ... ...
- 데이터를 품은 축구 축구를 품은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명문구단이다. 공격에 초점을 두고 이기는 경기를 하기 위해 계획을 세운다. 따라서 전북 현대는 공격 전략을 짜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는 것이 노 분석관의 설명이다. 양 이사 역시 “팀마다 소비하는 데이터가 다르다”고 말한다. 수비에 치중하는 약팀의 경우 수비와 ... ...
- [킹앤카] 우울할 땐 먹방 퀴즈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가졌지요. 세미나의 주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고전 수학과 현대 수학 간의 관계’, ‘수리생물학 속 미분방정식’이라는 주제가 가장 인상 깊었어요. 물론 하루 종일 공부만 한 것은 아니에요. 친목 활동도 열심히 했답니다. 교류전 첫날 저녁에는 보드게임을 좋아하는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해낼 수 있는 귀한 가치라는 생각에서다.교수이자 SF소설가이자 방송인으로 몸이 3개인 현대 괴물(?)의 삶을 사는 곽재식 작가. 그는 다양한 도전을 즐겨 왔다. 2016년에는 ‘140자 소설’이라는 아주 짧은 단편소설집을 냈다. 트위터에 부계정을 만들어서 소설을 올렸는데, 그중 가장 많은 리트윗을 ...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진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번 발견은 핵력부터 중성자별의 모델까지 현대 물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특히 핵물리 분야가 가장 큰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핵력을 계산할 때 중성자만으로 이뤄진 경우는 계산하지 않았는데, 테트라 중성자를 ... ...
- [4컷 만화] 폼페이 유적지 지킴이 로봇 개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진행 중이라고 밝혔어요. 스팟은 미국 로봇 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한 우리나라 현대자동차의 네 발 달린 로봇이죠. 스팟은 360°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로 앞뒤 양옆을 모두 촬영하며 유적지를 스캔해요. 스캔한 이미지를 로봇 안에 있는 소프트웨어로 보내면 소프트웨어가 유적지의 입체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8장. 절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컴퓨터가 탄생하는 데 수학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아볼 거예요. 영국의 수학자이자 현대 컴퓨터의 창시자인 앨런 튜링은 일종의 판정 문제인 ‘정지 문제’를 ‘튜링 기계’를 이용해 풀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는데요. 어떤 증명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봅시다. ♥ 정지 문제가 가능하다면 정지 ... ...
- [기획] 미래 선박엔 탄소 배출도, 선원도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1912년 4월 15일, 첫 출항을 한지 불과 4일 만에 2000명 넘는 승객을 태운 거대한 배가 침몰하며 사회는 큰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참사 110주년을 맞은 타이타닉호입니다. 이후 대형 선박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커지고, 환경까지 생각한 선박 기술이 등장하며 선박의 모습은 달라지고 있습니다. 과학이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펜을 들고 있다는 점에서는 완전히 같은 조건이에요. 그런데도 그 시절 수학자보다 현대 수학자가 현상을 더 깊이 빨리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것이 굉장히 신비로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크게 종의 관점에서 보지 않고 개인적인 관점에서 생각해 보더라도 나라는 사람이 똑같은 지식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