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재"(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바빌로니아인의 실수, 60진법이 원인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점토판을 만들 지점토가 풍부했기 때문이다. 점토판은 이집트의 파피루스와 마찬가지로 화재 등에 유실되지 않고 보존이 쉬워서 지금까지도 수십만 개가 전해 내려온다. 1846년 롤린스 경이 베히스툰 지역의 고대 양각 비문을 해석해 바빌로니아인의 쐐기문자를 해독했고 그 가운데 약 300개가 수학에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2012년 서울에서 발생한 도심 건물 헬기 충돌 사고와 2010년 부산에서 발생한 오피스텔 화재 사고는 초고층 건물에서 안전이 특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특히 9·11테러를 겪고 나서는 입주자들의 탈출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당시 세계무역센터에 있던 입주자 가운데 약 2000명은 탈출을 못한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입히면 국가 전체의 통신망을 망가뜨릴 수 있다. 실제로 오래 전 서울의 한 전화국에 화재가 발생했을 뿐인데 국제전화 전체가 불통된 적이 있다.(해당 전화국을 밝히는 것 역시 우리나라의 통신망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행위가 된다.)하지만 마당발에 해당하는 ‘허브’를 공격하더라도 전체가 ...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확보하는 효과를 얻는 셈이다.신현준 위원은 “이 기술이 초고층건물의 화재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양로원, 소아병원 등 행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있는 시설에서도 피난시 안전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밝혔다.아직 목조건축이 갈 길은 멀다. 일본에서 진행된 내진 테스트처럼 실제 화재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 테스트가 필요하다. 캐나다는 4층, 미국은 5~6층 등 각국 정부는 여전히 목조 건물의 높이를 제한하고 있다. 박문재 과장은 “신라 선덕여왕 때 건립된 황룡사 9층 목탑은 높이가 81m에 ... ...
- 우유속 단백질, 화재 막는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진행한 면(왼쪽). 폴리에스테르(오른쪽).]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일종인 ‘카제인’이 화재시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탈리아 토리노공대 제니 알론기 박사팀은 면과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 표면에 카제인을 바른 뒤 불을 붙이면 연소 속도가 눈에 띄게 감소한다는 ...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04호
- 고객 중 40대 이상 연령층이 전년도에 비해 3% 증가했다고 밝혔다.이처럼 지난 한 해 동안 화재를 모은 꽃보다 할배는 방송이 끝나기 무섭게 다음 여행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리고 드디어 3월 초부터 스페인 여행기를 담은 꽃보다 할배 시즌2가 방송되기 시작했다!할배들이 세계 모든 도시를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경우를 생각해보자. 덩치가 사람과 비슷한 로봇이라야 사람도 ‘서빙’을 받기 쉽다. 화재라도 난다면 어떨까. 문을 따고 들어와 소화기로 불을 꺼야 하는데, 문고리도 소화기도 다 사람의 키와 손 모양을 하고 있어야 가능하다. 요컨대 ‘만능’ 로봇은 인간형 로봇이어야 한다.이 책은 인간형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전구의 물고임 현상이다. 양계장의 잦은 소독과 물청소로 전구 안에 물이 고인 것이다. 화재나 누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2012년부터는 방수 LED 전구를 보급했다.더 큰 문제는 닭들의 반응이었다. 가장 먼저 닭들이 LED 전구 밑에 몰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닭이 밝은 곳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 ...
-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중 배에 불을 붙이는 전술을 사용했는데, 이 불이 바람을 타고 도서관에 옮겨 붙으면서 화재가 난 것이다. 이후 3세기 경, 도서관은 로마군의 침략을 받아 약탈을 당하고 완전히 불타버리고 말았다.지난 2002년,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있던 자리에 현대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다시 세워졌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