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횡절
교차
가로지르기
d라이브러리
"
횡단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이용 대륙간 원격수술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 움직임을 그대로 실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이번 원격수술은 1927년 대서양 단독
횡단
비행에 첫 성공한 찰스 린드버그의 이름을 따‘린드버그 수술’로 명명됐다. 마레스코 박사는“이번 대륙간 원격수술의 성공으로 세계 어느 곳에 있는 환자라도 세계 최고 의료진의 수술을 받게 됐다”고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벗기고 온몸을 맛사지해서 체온을 올려줘야 한다. 1995년 북극점을 정복하고 북극해를
횡단
한 허영호 대장의 탐험대 대원 중 한명이 백시로 시야가 어지럽게 되자 불과 2m 앞의 바다를 보지 못하고 빠지고 말았다. 이날 기온은 영하 22℃로 극지에서는 비교적 기온이 높은 편에 속했다. 그러나 동료들의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구성된 것은 1921년. 이들은 8대의 자동차와 1백50마리의 낙타를 이끌고 사막을
횡단
하면서 1930년까지 몽골 고비사막지역을 탐사했다. 그러나 처음에 의도했던 중생대 포유류화석보다 공룡화석을 더 많이 발견했고,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공룡알 둥지를 발견하는 등의 개가를 올렸다. 공룡알 둥지의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도로에는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교통신호가 등장해야 했다. 사람이 안전하게 지나다닐
횡단
보도, 다니기 위험한 지역 등을 간단한 그림 부호로 표시해 운전자와 통행인 모두에게 즉각적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아이콘의 등장은 단지 여기에 머물지 않았다. 각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다른 나라에 ... ...
20세기 하늘을 연 라이트형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프랑스의 루이 블레리오는 3기통 엔진을 부착한 비행기를 타고 도버해협(34km)을 34분만에
횡단
하는 기록을 세웠다. 비행기가 진가를 발휘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이다. 당시 비행기의 속도는 시속 2백4km, 항속거리는 1천km에 이르렀다. 1차대전이 일어나자 비행기는 전쟁의 꽃으로 피어났고, 정찰기 ... ...
마르코니의 무선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이때부터 육지와 선박, 선박과 통신은 무선전신의 독무대가 됐다.마르코니가 대서양
횡단
무선전신에 성공했던 것은 사실 행운이었다. 지구가 둥글기때문에 전파가 영국과 캐나다 사이를 직접 오갈 수는 없었다. 그런데 다행히 지구 밖에는 전파를 반사시켜주는 전리층이 존재하고 있었다. 물론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십자군이란 뜻)를 몰고 LA와 뉴욕을 3시간 23분에 주파했는데, 이는 최초의 초음속 대륙
횡단
비행이었다. 9천시간에 이르는 비행기록과 전투경험을 바탕으로 글렌은 1959년 4월 미국 최초의 우주조종사 후보로 선발됐다.1962년 2월 20일 그는 마침내 세퍼드와 그리솜에 이어 미국인으로는 3번째로 ... ...
태양전지 비행기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비행시간은 7시간 35분으로 세계 신기록이었다.태양전지에서 만든 에너지로 미국대륙을
횡단
한다는 것은 무모한 시도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새로 개발한 초경량 아모르퍼스 실리콘 태양전지의 성능과 신소재를 바탕으로 한 비행기의 제작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 민들레호가 안착한 키티호크는 ... ...
달은 왜 크기가 변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야구공이다. 달의 지름은 3천4백76km로 지구 지름의 약 1/4에 해당하며, 미국 대륙을 동서로
횡단
하는 것보다 약간 작다.2.달의 물질은 지구의 물질보다 가볍다. 질량으로 치면 달 81개를 합쳐야 지구와 맞먹는다. 야구공 81개의 부피가 농구공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생각하면, 달을 이루고 있는 물질의 ... ...
5. 솔리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발생했다. 1987년 6월 미국에서는 거대한 공기파가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 채 대륙을
횡단
한 사건이 관측됐다.1991년 벨 연구소는 하나의 회선으로 50만통의 전화를 동시에 전송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일본열도에서는 지금도 지하 2백km 밑에서 액체 마그마가 지면을 뚫고 힘차게 용솟음치고 있다. 전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