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로 보는 뉴스] 꿀잠 자고 싶다면 많이 걸으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세계의 어른들이 평균★적으로 잠드는 시각은 오전 12시 1분이고, 일어나는 시각은 오전 7시 42분이라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나라별로 일어나는 시각은 비슷했지만 잠드는 시각은 조금씩 달랐지요. 소득★이 높은 나라에 사는 사람일수록 잠드는 시각이 더 늦었고, 질서나 규칙이 덜 엄격하고 ... ...
- 악땅, 어디 숨었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한 장을 발견했어요.“악땅이 9월 13일에 쓴 일기인가 봐. 9월 13일로부터 2주 뒤라면월 27일이야! 바로 오늘이네. 어서 해먹이 있는 곳으로 가자!” 해먹이 걸린 나무를 찾았더니, 역시나! 악땅이 여유를 부리고 있었지요. “흥! 1초라도 늦었으면 이 보물은 내 거야!”악땅과 클락은 동시에 시계를 ... ...
- [4컷 만화] 임무를 다한 위성 ‘아이올로스’, 지구 송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몸체가 지구 중력에 강하게 이끌리며 점점 가속 추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7월 28일, 아이올로스의 몸체는 공기와의 마찰로 불에 탔고 남은 잔해는 대서양으로 추락했습니다. ESA는 “이번 실험은 우주 쓰레기를 없애는 목표를 향해 한 걸음 나아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넘쳐 흐르는 바닷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온도가 오를수록 해수면도 더 빠르게 오릅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은 “지난 6월과 7월 지구의 해수면 평균 온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5℃ 올랐다”며 “과거에는 0.25℃ 오르는 데 20년이 걸렸던 것에 비해 매우 빠르게 오른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
- [기획] 과학으로 잡는다? 수상한 우편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삐!’지난 7월 21일, 정체불명의 국제 우편물을 조심하라는 긴급재난문자가 울렸습니다. 해외에서 수상한 소포가 왔다는 신고는 전국에 무려 2000건에 달했고, 경찰은 소포에 유해한 물질이 있을지 모르니 절대 개봉하지 말고 신고하라며 주의를 주었지요. 다행히 일주일 뒤, 경찰청은 우편물 속에 ... ...
-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그래서 만조 때는 둑 바깥쪽에 바닷물이 쌓여 수위가 높아지지요. 목포에 많은 비가 내린 7월 24일 밤은 만조였습니다. 둑 바깥쪽에 바닷물은 잔뜩 쌓였고, 짧은 시간에 내린 많은 비는 하굿둑 때문에 바다 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했어요. 결국 넘친 바닷물과 하굿둑에 쌓인 빗물이 만나 피해가 ... ...
- [과학뉴스] 간지러워 웃는 쥐, 웃음 조절 뇌 영역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타며 웃고 있습니다. 사람이 들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초음파 소리를 내면서 말이죠. 7월 28일, 독일 베를린훔볼트대학교 마이클 브레히트 교수팀은 쥐가 간지럼을 타거나노는 동안 뇌 활동을 측정해 뇌 속의 ‘수도관 주위 회색질’이 놀이에 필수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1~ ... ...
- [특집] 우리 동네가 가라앉는다면 해수면 상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7월 24일, 전라남도 목포가 물에 잠겼어요. 건물에도, 주유소에도 물이 차올라 시민들은바지를 걷어붙이고 물살을 가르며 다녀야 했습니다. 그런데 목포의 침수 피해, 비가 많이 와서 그런 것만은 아니었어요. 한 가지 이유가 더 있었지요. 바로, ‘해수면 상승’입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만화 뉴스] 세계기상기구, “올해 7월은 역대 가장 더운 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기후변화 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의 관측 데이터를 보면 올해 7월 6일 전 세계의 평균 지표면 기온은 17.08℃로, 이전 가장 높았던 기록인 2016년 8월 14일의 16.80℃보다 높게 나타났어요.과학자들은 적도 부근의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인 엘니뇨가 기후위기로 인해 더욱 강력해졌기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전에 있었던 일이 꿈에서 생생히 기억나서” 등 다양한 답변이 나왔지요. 섭섭박사는 1977년 미국의 신경정신과 의사인 앨런 홉스와 로버트 맥칼리가 제안한 활성화-합성 이론을 소개했어요. “우리는 잘 때 비렘수면과 렘수면 상태를 오고 갑니다. 주로 몸은 움직이지 못하지만 뇌는 활발히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