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가설"(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님과 실감나게 화산 실험을 해 보다! - 공룡들을 멸망시킨 게 이런 화산 폭발이었을까?기사 l20161120
- 이번 화산 폭발 실험은 너무 실감나고 즐거웠습니다. 실제 화산 폭발을 간접적으로 느껴보는 기회도 되었고 공룡들의 멸종 가설에 왜 화산 폭발이 있었는지 알 수도 있어서 더 뜻깊었습니다. 다음에는 더 많은 친구들과 함께 실험실에서 체험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더 많이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참, 저 12월 3일 지구사랑탐사대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직접 관찰해 볼 예정이다. 무거운 현미경을 이곳까지 운반해 줄 아빠에게 미리 감사를 드린다~^^혹시나 하는 기대감이 가설이 되고 그 가설이 사실이 되는 순간을 고대한다. ...
- 태양계의 새 얼굴, 9번째 행성은 있을까? 9번째 행성! 그것이 알고싶다!기사 l20160329
- 확률이 14000분의 1로 매우 낮다고 합니다.이를 통해 9번째 거대 행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지요. 잠깐, 그런데 왜 이것이 가설일까요?그 이유는 바로 현대 과학 기술로는 관측을 못할 먼 거리의 행성이기 때문입니다. 예전에 9번째 행성이었던 명왕성은 태양에서 46억 마일 떨어져 있어 관측을 할 수 있었지만플래닛나인은 태양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4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1편 공릉: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아름답고 어질고 자혜로운 장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325
- 요절하였다고는 하더라도 이후 성종에 의해 공릉으로 승격된 마당에 석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상설을 산릉도감에 따라 추후에 가설해야 하는 것이 옳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일까? 그 정답은 바로 조선왕조실록에 분명히 나타나 있었다. 의지(懿旨)를 예조(禮曹)에 내리기를,"공릉(恭陵)과 경릉(敬陵)은 지금 존호(尊號)로 높였으니, 능(陵)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기사 l20151210
- 부근의 화강암을 샘플링해서 기자의 실험실에서 고착지의류가 생성되는 과정과 원인을 재현해보려고 합니다. 이 실험은 이후에 가설단계부터 실험의 진행과정까지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좌측의 문인상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어요. 다만 다른 왕릉과는 달리 석상이 놓인 바닥이 지면보다 낮게 패어있었어요. 다른 곳의 경우도 패어있지만 이곳 온릉의 ...
- 코셈을 다녀오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들여다보는 본 나노의 창: 작지만 큰 세상기사 l20151209
- 훌륭한 과학자가 되는 길이 멀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비록 그것이 사실로 증명되지 않을지라도, “만약(If)이라는 가설”을 끊임없이 세우고 또 세우다 보면, 어쩌면 작은 진실 하나쯤은 알게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해보았어요. 윤관우 ... ...
- 서천 국립 생태원 뜯어보기 나홀로 현장취재 가보다! (안뽑히면.. 나혼자 가면 된다)기사 l20150522
- 기획전시 개미세계 대탐험 핼로우 에브리바디. 나는 앤트야. 오늘 개미전시가 열리거든. 빨리 개미세계로 가서 우리의 목표! 즉 가설을 세워 발표하는거야. 가장 중요한 것은 개미분류야. 왜냐하면 새로운 개미이면 이름을 지어 주어야 되거든.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일본 왕개미가 제일 흔한 건데 왜 일본자가 붙느냐고? 그건 일본인이 발견해서 그래. 왜냐하 ...
-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을 다녀오다!기사 l20140604
- 실제로 필리핀의 화산폭발로 필리핀 전체 기후가 1도 올랐다고 합니다.이러한 기후 변화에 버티지 못해 공룡이 죽었을 수도 있다고 가설을 세우고 있는 바입니다. 공룡 이야기에서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보자면 다음 이야기는 큰 동물을 다룬 이야기입니다. 이제 두 번째 이야기, 땅 위에 사는 가장 큰 동물은 코끼리인 것처럼 물 속에서 사는 동물 ...
- 지구온난화 시기에 북극의 빙하 증가?기사 l20140516
- 앵커리지의 8월 평균 기온은 2012년은 13.3도 이고, 2013년은 14.1도 이니까요. 오히려 2013년의 온도가 더 높아요. 이 근거로 탄생한 가설이 빙산이 두께가 얇아지면서 넓게 퍼졌다는 것이에요. 실제로 넓혀진 북극의 빙하의 두께는 알려진 바가 없답니다. 북극의 빙하 증가는 지구의 빙하기의 시작을 알리는 징조 일까요? 아니면 ...
- 연필깎기 연필심 쓰레기에서 씨앗은 싹이 날까? 신기한 일이 일어납니다기사 l20140505
- 쓰레기에서 7일만에 싹이 텄다 나의 가설은 연필심은 흑연과 점토 연필을 둘러싼 것은 나무이므로 싹이 틀 것이라는 것이었다 이것은 주로 탄소성분으로 탄소가 지구를 이루는 중요한 물질이기 때문이었다 싹이 텄기때문에 이제 이 강낭콩의 성장을 관찰해보고버리는 연필심 쓰레기를 거름이나 비료로 사용하면 식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볼 것이다. ...
이전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