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기후"(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사기록 l20220429
- * 기후변화지표종: 모름* 날씨/기온: 보슬비/10도* 관찰지역: 서울시 동대문구 중랑천* 종별/성별/마리수/관찰환경: 모름/모름/1마리/도시* 세부관찰내용: 하천 (중랑천하천 수풀 난간)밤산책나갔다가중랑천에서 만난 거미예요.보슬비가 내리는데도 거미줄은 튼튼해보여요. ...
- 시은채은탐사대 - 220424 - 1탐사기록 l20220424
- 철쭉 꽃봉오리들 가운데 1개 꽃만 개화한 걸 보았어요.기후변화로 인해 점점 개화시기가 빨라지는 게 더욱 느껴집니다. ...
- 지구의 날에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20424
- 인지하고, 기후변화 감축을 위한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소등행사 및 지구의 날 이후의 일주일간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지정하여 기후 행동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날은 미국의 원유유출 사고를 계기로 1970년에 시작되었다고합니다. 그래서 매년 4월 22일에 전 세계인이 함께 지구환경 문제를 고민하고 위기를 극복하기 ...
- 자전거 타러 갔다가 민들레를 만났어요!!기사 l20220422
- 일년내내 꽃을 피우는 서양민들레에 비해 점점 줄어들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ㅠㅠ 서양민들레 처럼 우리나라의 토양과 기후에 잘 정착해 자라는 외국에서 온 식물들을 귀화식물이라고 하는데,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개망초 등의 식물도 모두 외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 입니다. 꽃이 지고 씨가 생긴 민들레 ...
- 사람마다 피부색이 다른 이유는?기사 l20220409
- 지금의 백인종이나 황인종은 어떻게 탄생하게 된 것일까요? {출처:https://m.blog.daum.net/ro72265/17064714} 인류의 이동과 진화 반복되는 기후의 변화와 짐승으로 인하여 더 낳은 삶의 터전을 찾아 우리의 조상들은 끊임없어 이동하게 되었고 오늘날 이와 같이 여러 대륙으로 분포하여 터전을 잡게 됩니다. 이 인류의 이 ...
- 지구온난화에 의해 점점 사라져가는 동물들기사 l20220402
- 많이 사라졌습니다. 100년 전만 해도 북극곰은 개체 수가 지금보다 훨씬 많아서 멸종위기등급이 그렇게 높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후변화의 의해 지금은 잘 볼 수 없다고 하네요. 출저 :https://www.greenpeace.org/static/planet4-korea-stateless/2019/07/66171c73-66171c73-g ...
- 환경 오염의 진정한 심각성에 대해서 아시나요?기사 l20220401
- 그리고, '우리 모두'는 나 하나부터 시작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 산불이 나 큰 피해가 있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더욱 건조한 기후였기 때문에 불길은 쉽게 번졌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자초한 일이기 때문에 더울 안타깝게 바라볼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분은 이 산불을 보면 환경에 대한 책임감이 느껴지지 않나요? 또한 우리가 환경을 위해서 작 ...
- 달성습지 생태 학습관의펭귄을 지켜줘!기사 l20220401
- 2층의 기획전시실에 들어가보니 펭귄의 종류,펭귄이 사라지는 이유가 적혀있었다. 펭귄이 사라지는 까닭중 대표적인 예는 기후변화와 기름유출,관광객 등이 있습니다.사라지는 빙하 위에서 아슬아슬하게 자리를 잡고 목마를 타고있는 펭귄을 조각한 작품도 눈에 띄였습니다 아래의 석탄이 빙하를 녹이고 있고 펭귄들은 알을 지키려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이 ...
- [서식지모 미션]식물의 경이로움포스팅 l20220326
- 식물에 대해 친해질수 있고 모임원들과 정보를 공유할수 있어요. 식물을 알면 생활속에서 다양한 도움을 줄수도 있어요! 또 기후문제로 인한 변화도 알수있죠. 한달에 한번정도 미션이 나가는데요, 넉넉한 기간이라서 부담없이 미션을 할수 있어요. 식물은 깊이 탐구할수록 더 재미있고 흥미로운 분야에요. 서식지모, 가입해보세요~모임장:양서윤(김은미 ... ...
- ‘어스아워’ 캠페인을 아시나요?포스팅 l20220326
- 3월 마지막주 토요일.' 어스아워 ' 란 세계자연기금의 어스아워가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지구의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시작한 환경운동 캠페인의 날입니다. (네이버 참고) 이번 년도는 2022년 3월 26일 토요일, 오늘로 정해졌습니다.방법은 간단합니다.8:30~9:30분까지 불을 다 끄고 계시면 됩니다. 조금만 불편하더라도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