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묘"(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수학여행을 다녀왔는데요, 경주에 다녀왔어요. 첫째날에는 김유신포스팅 l20160423
-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수학여행을 다녀왔는데요, 경주에 다녀왔어요. 첫째날에는 김유신 장군 묘와 문무대왕릉, 감은사, 석굴암을 오전에 봤구요. 오후엔 달빛기행으로 첨성대, 안압지(동궁과 월지)를 봤어요. 그랬더니 아주 피곤하더라구요.....ㅠㅠ 그래서 잠을 아주 잘 잤어요.ㅎㅎ(진짜 피곤했던 이유는 제가 가위바위보에서 이겨서 방장을 했기때문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420
- 41권, 성종 5년 4월 11일 을축 3번째 기사(http://sillok.history.go.kr/id/kia_10504011_003, 자료제공). 병세가 심해지자 원상들의 권유로 사직과 종묘에 기도하는 것은 물론이고 죄인들을 대거 사면하여 백성들을 기쁘게 하고자 한다. 지아비이자 한 나라의 군주로서 아내를 위해 뭐든지 해보려는 성종의 애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미쳤을지를 심리학적 혹은 정신분석학적으로 다룰 수 있다면 큰 성과가 될 것이다. 역사는 단순한 기록에 그치지 않는다는 데 그 묘미가 있다. 윤관우 ...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4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1편 공릉: 온순하고 너그러우며 아름답고 어질고 자혜로운 장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325
- 이 장순왕후의 묘가 조성될 세조 8년에는 상당부원군 한명회가 무소불위의 권세를 누리던 시절이었다. 그의 사랑스러운 셋째 딸의 묘를 조성하면서 소홀히 했을 리가 없을 텐데 궁금하다. 이 역시도 산릉도감에 따른 것일까? 석물의 조성에 관한 부분은 따로 정리를 해야한다. 하지만 대부분 정확하게 나뉘어지는 것은 아니라서 대강의 범주만 있을 ...
- 계백장군유적지에 가서 계백의 묘랑 계백의동상을 봤어요.포스팅 l20160226
- 계백장군유적지에 가서 계백의 묘랑 계백의동상을 봤어요. ...
- 년의 이름기사 l20160102
- 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가 있습니다. 따라서 여기엔 갑자년, 을축년, 병인년, 정묘년, 무진년 ......병신년이 생기게 됩니다. 왜 병신년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알겠죠? 새해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기사 l20151210
- 옆구리로 말려 올라간 꼬리는 같이 놀자고 애교를 부리는 것 같습니다. 석양은 석호와는 달리 서 있는 모습인데, 뿔을 사실적으로 잘 묘사했어요. 석양은 언뜻 산양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좌우 석물의 위치를 가지고 재밌는 비교를 해보았어요. 석마와 문인석 그리고 망주석 세 가지 석물을 한쌍으로 하여 좌우 비교를 해보았더니 생각보다 크기와 위치가 딱 ...
- 대표적인 북방형 고인돌, 금현리 지석묘 청동기인의 삶과 지혜를 엿보다기사 l20151115
- 보인다. 문화재는 존재 그 자체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후손들이 찾아 그 뜻을 기리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지석묘 바로 입구의 모습이다. 그 어디에도 표지판이 보이지 않아서 제자리를 맴돌았다. 이 간판들이 못봤다면 아마 기자는 돌아갔을지도 모르겠다. 항상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느끼는 점은 문화재의 보존과 관리는 문화 ...
- 인평대군의 묘역을 다녀오다. 조선의 임금들이 가장 사랑한 대군.기사 l20151115
- 된다. 바로 이곳 인평대군의 묘역도 마찬가지다. 바로 코앞까지 왔지만 어디로 가야할지 전혀 알 수가 없다. 심지어 좌측 아래 사진은 묘역 직전 진입로인데도 작은 간판 하나 보이지 않는다. 저 멀리 어렴풋이 어느 양반집 무덤인가 싶을 정도다. 그래도 근처에 공장이 들어서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여겨야 하겠다. 윤관우 기자 ... ...
- 백사 이항복 선생의 묘를 다녀오다 당쟁에 맞서다 당파에 희생된 한 선비의 이야기기사 l20151111
- 묘, 의정부 영의정 오성부원군 이공의 묘>라고 적혀있다. 부인인 안동권씨는 권율장군의 딸이다. 당대 최고의 문인인 선생의 묘비치고는 소박하다. 뒷편에서 내려다 본 풍경. 자세한 건 모르지만, 풍수지리상 얼마나 좋은 자리일까. 이항복 선생 부부의 쌍봉 동쪽 아래에 정경부인 금성오씨의 무덤이 있다. 금성오씨 ...
이전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