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
구별
"(으)로 총 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챗GPT 열풍?...의료현장서 자리잡는 영상판독 AI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상행결장게실염 등 충수염과 유사한 질환을 걸러내면서 89.4%의 정확도로 충수염을
구별
해냈다. ● ICT기업·스타트업 두각 드러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과 의료영상 AI 전문 스타트업들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카카오의 AI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지난 3일 기업설명회에서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 ... ...
초파리의 완전한 '뇌 지도' 완성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뇌를 촬영했다. 촬영한 이미지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분석해 뉴런과 시냅스를 정확히
구별
한 뒤 각 뉴런과 시냅스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확인했다. 분석 결과 초파리 애벌레의 뇌에 있는 3016개의 뉴런 중 93%는 모든 개체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체 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는 ... ...
산불·이태원 참사 감시·예측 등 안전관리 기술에 2조2578억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레이저 선체 절단, 신개념 소화탄(고밀도 소화가스), 오작동 방지 감지기(비화재
구별
복합센서) 등 재난현장 10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국민’ 주제와 관련해서는 가정과 일터 등 국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하고 안전취약계층의 재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에 466 ... ...
SNS 콘텐츠 공유 행위, 사실 판단력 흐리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달리 공유 여부를 묻는 질문 자체가 주의를 산만하게 하기 때문에 사실과 거짓을
구별
하는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분석이다. 데이비드 랜드 교수는 "사람들에게 공유 여부를 묻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은 믿지 않았을 헤드라인을 믿을 가능성이 커지고 믿을 만한 헤드라인을 믿지 않게 될 가능성이 ... ...
체르노빌 떠돌이개 유전특성 규명..."방사선 포유류 노출 영향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3.05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체르노빌의 개'들은 순종 개들이나 다른 자유 교배 집단과
구별
되는 유전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족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들 내에는 15개의 '가족'이 있었고 일부 가족은 활동 지역이 크고 넓게 퍼져 있는 반면 다른 가족은 지리적 영역이 더 명확하게 ... ...
[씨즈더퓨쳐] MZ세대 SNS 앱 '본디' 반짝 흥행 이유는
2023.03.05
고 말했다. IMSI는 유심칩에 적힌 15자리 숫자로, 전 세계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를
구별
하기 위해 쓰이는 유심칩의 주민등록번호다. 본디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살펴보면 IMSI는 수집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교수는 "IMEI는 본디 말고도 대부분 SNS 플랫폼이 수집하는 정보지만 IMSI를 ... ...
더 정확하게 유방암 탐지하는 ‘AI 초음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검사는 유방 병변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의료 영상 양식 중 하나다. 악성 병변과 양성을
구별
하기 위해 컴퓨터 보조 진단(CAD) 시스템은 병변의 특징을 자동으로 세분화하고 식별해 방사선 전문의에게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B 모드와 변형 탄성 그래피(SE) 이미지를 활용해 병변을 분할한 다음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곤충을 좀비로 만드는 '이 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25
나타내요. 저에게는 곤충들의 모습이 비슷하기만 한데, 버섯은 이렇게나 잘
구별
하다니. 신기할 따름이지요. ● 나무를 지배하는 버섯 뽕나무버섯부치 : 아밀라리아 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나무 기생성 버섯 중 하나. 나무에겐 끔찍한 병원균이지만 사람에게는 그저 맛있는 식용버섯일 뿐이다. ... ...
뇌종양 연구 선구자 최승홍 서울대 교수 '한림원 생리의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최상위 저널에 발표하는 등의 연구성과를 냈다. 가성진행은 종양의 실제 진행과
구별
이 어려운 뇌교모세포종 특유의 치료반응을 뜻한다. 최 교수는 또 자기공명영상(MRI) 영상에서 철 나노입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해 목적에 따라 종양의 신호 강도를 바꿀 수 있는 나노입자 최적화 연구를 ... ...
"양자컴퓨터, 10년 뒤 애플 주가 정확히 예측해 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꼽았다. 그는 “사람은 직관적으로 강아지처럼 생긴 고양이와 고양이처럼 생긴 강아지를
구별
할 수 있지만 AI에게 이러한 분류 작업은 어려운 문제”라고 운을 뗐다. 김 교수에 따르면 AI는 방대한 양의 설명이 적힌(라벨링)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해 이미지를 식별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러한 학습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