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계
프런티어
경계선
뉴스
"
국경
"(으)로 총 36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서재] "책은 복잡계를 가르쳐 주는 진짜 선생"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9) 전파양상을 밝히는 데도 활약해 왔다. 코로나19가 빠르게 퍼지던 올해 3월과 4월에는
국경
차단, 휴교령에 따라 감염병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를 분석해 제시하기도 했다. 복잡계를 연구하는 학자인 만큼 연구실 세 면을 둘러싼 서가도 김 연구원이 만든 '복잡계'로 구성됐다. 서가에는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⑤플랫폼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대학의 역할
2020.10.27
‘보이지 않는 대륙’이라고 불렀다. 아울러 이 경제 체계가 지배할 21세기에 국가와
국경
을 대신해서 가장 큰 힘을 가질 체계가 ‘플랫폼’이라고 주장했다. 겐이치에 따르면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 또는 ‘구성원들이 모여 있는 생태계’로 어떤 목적을 가진 유사한 활동이 ... ...
"코로나 끝나도 위기는 계속 온다…포용과 공유의 기술 중요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더 이상 재능을 가진 사람의 절반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 CAETS 제공
국경
을 넘어선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 그는 기후변화를 예로 들었다. 오늘날의 위기는 복잡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해 여러 국가의 공동 노력이 중요하다. 그는 에너지와 재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일벌 4마리가 발견됐고 이어서 여왕벌 3마리가 발견됐다. 이들 지역은 캐나다와 미국의
국경
지대로 서로 가깝다. 따라서 2019년 태어난 밴쿠버섬의 장수말벌 여왕벌들이 겨울을 난 뒤 이듬해 인근으로 퍼져 새 둥지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장수말벌이 새로운 서식지에서 자리를 잡을 수 ... ...
노벨상 수상자 오늘부터 발표…한국인 과학자 수상할까
연합뉴스
l
2020.10.05
부문에서는 올해 두각을 나타내는 단체나 인물이 없다. 다만 국제 언론자유단체인 '
국경
없는기자회'(RSF)와 청소년 환경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의 이름이 눈에 띈다. 지난 1월 다보스포럼서 연설하는 툰베리. 연합뉴스 코로나19 방역을 주도하고 있는 세계보건기구(WHO)도 후보로 거론된다. ... ...
"폐기물 재자원화·디지털치료제 개발·드론 정밀감시 추진한다"
연합뉴스
l
2020.09.24
제공할 계획이다. 성층권(지상 약 12∼18㎞ 상공 대기층)에서 기상관측과 재난·
국경
감시 등을 할 수 있는 성층권 드론(무인기) 개발도 진행한다. 추진단은 24시간 관측이 가능한 고해상도 드론을 개발해 기존 정지위성과 저궤도위성으로 구성된 위성관측 체계를 보완할 방침이다. 추진단은 ... ...
WHO "10~11월 유럽서 코로나 사망자 급증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코로나19 여파로 폐쇄된 아이슬란드의 한 학교. 위키미디어 제공 세계보건기구(WHO)가 오는 10~11월 유럽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 내용으로 긴급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북한은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중국과의
국경
에 특수부대를 배치하는 등 극단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 ...
수도권 거리두기 2단계로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모이는 모든 사적·공적 목적의 집합·모임·행사는 금지하는 행정명령이 실시된다.
국경
일 등 필수 행사는 위의 인원 기준에 맞추어 실시한다. 지역축제, 전시회, 설명회 등 공공·민간이 개최하는 행사 중 불요불급한 행사는 연기·취소하도록 권고하되, 꼭 개최가 필요한 경우 인원 기준에 맞추어 ... ...
'코로나19 세번째 큰 파도 오나'...겨울 앞두고 각국 대책 마련 분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2
중국과의
국경
에서 1∼2㎞ 떨어진 곳에 북한의 특수전 부대가 배치됐다. 이들은 무단으로
국경
을 넘어 오는 이들을 사살하라는 명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우리에게 ‘마지막 수업’으로 잘 알려진 1870년 프러시아와의 보불전쟁 때 “과학에는
국경
이 없지만 과학자에겐 조국이 있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듬해에는 독일 본 대학에서 받은 명예박사학위도 반납했다. 이 전쟁에 자원입대한 아들은 전사했다. 루이 파스퇴르((1822~1895))와 그의 서명.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