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곡
각본
드라마
마지막
전극
극본
연극
뉴스
"
극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극
과
극
, 두 마리의 킹 코브라
팝뉴스
l
2021.02.20
팝뉴스 제공 두 마리의 뱀을 비교한 사진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모양은 똑같은데 크기는 하늘과 땅 차이다. 뱀은 태국 킹코브라인데 큰 녀석은 17살이고 작은 뱀은 알에서 나온지 3주가 지났다고 한다. 취한 자세까지 똑같아서 더 신기하다. 일부 네티즌들은 성체 코브라의 강 ... ...
[랩큐멘터리]'알아서 척척' 이상징후 찾아내는 스마트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구현하는 기술을 뜻하는 디지털 트윈까지 연구하고 있다. 특히 연구팀은 다품종
극
초소량 제품을 대량생산 단가로 제조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기술들에 집중하고 있다. 공장은 동일품종 대량제품 생산이 기본 성격이다. 같은 물건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들 갖추고 대량으로 이를 생산해 ... ...
WHO조사단 우한 현지 연구시설 잇따라 방문...중국 자
극
자제 속 기원에 얼마나 접근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공개하지 않으면서 중요성을 강조하거나 시설의 뛰어남을 추켜세우는 등 중
극
측을 자
극
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WHO 국제조사단은 주요 방문 일정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외신을 종합하면 현재까지 병원 2곳, 시장 2곳, 후베이성 질병예방통제센터를 방문했다. 지난달 30일 코로나19 확산 ... ...
한국 연구진, 원자가 모여 핵 이루는 순간 세계 최초 관찰(종합)
연합뉴스
l
2021.01.29
적어 두 상태를 반복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원철 교수는 "박막 증착 공정의
극
초기 상태를 실험적으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며 "반도체 소재 분야 원천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서울대학교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전기장에 영향을 받기 쉽다. 연구팀은 이 부분에 착안해 나노자동차의 양쪽 끝에 쌍
극
자 모멘트를 유도해서 주사터널현미경(STM)이 만든 전기장 속에서 나노자동차가 움직이도록 설계했다. 제2회 대회의 관건은 무게다. 나노자동차는 무게가 가벼울수록 속도가 빠르다. 이 때문에 대회 주최 측은 ... ...
[CES2021] 1초에 26조번 연산…삼성 모바일 AP 신제품 공개
연합뉴스
l
2021.01.13
통해 게이밍이나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 혼합현실(MR) 기기에서 사용자의 몰입도를
극
대화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삼성전자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인공지능 연산기능과 이미지센서도 강화됐다. 3개의 차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 코어와 불필요한 연산을 배제하는 가속기능 설계 등을 ... ...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 한국산 진단키트·세계 첫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기술을 적용해 3세대 10나노급 D램 개발에 성공한 연구는 세계 최소 셀 사이즈 한계를
극
복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현대차는 총중량 34t급 대형 카고 수소전기 대형트럭을 처음으로 양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스위스 수출에도 성공했다. 한국의 인공태양인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가 ... ...
바다 밑 온실가스 메탄, 썰물 때 대기 중으로 빠져나간다
2020.12.15
녹아들었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이다. 플라사-파베롤라 연구원은 “북
극
해의 가스 배출량이 예상치보다 많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심해는 물의 압력으로 해수에 녹은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가능성은 적지만 얕은 바다에서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더 많은 연구가 ... ...
"현 태양흑점 주기 관측이래 가장 강한 것 중 하나될 수 있어"
연합뉴스
l
2020.12.09
연구팀은 이런 상관관계가 정확한 종료 사건 대신 평균치를 내 태양 활동
극
소기에서
극
대기까지 태양흑점 주기의 길이를 측정하는 전통방식으로는 파악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매킨토시 부소장은 "태양 주기의 메커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해 태양흑점 주기와 강도를 예측하는 데 ... ...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0.12.03
특히 중심별과의 거리가 적절한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의 외계행성이라도, 중심별이
극
자외선을 많이 방출하는 경우 원시 대기의 대부분을 상실했다.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판단할 때 중심별에 의한 대기 손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아트리 연구원은 “외계행성이 중심별의 활동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