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뉴스
"
꽃
"(으)로 총 982건 검색되었습니다.
꿀 먹으며
꽃
가루 옮겨…
꽃
과 상부상조하는 초식 개구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30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개구리의 피부에서 분비되는 점액이
꽃
가루를 상하게 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브라질나무개구리가 일반적인 개구리와 달리 식물을 좋아하는 습성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환절기 불청객 알레르기비염…"병원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병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4.20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해야 한다”며 “집안에서는 집먼지나 진드기, 야외에서는
꽃
가루 등 알레르기 요소에 노출을 최소화하는 생활습관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대구로병원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아까시나무에 매우 의존적인 양봉구조로 인해 양봉산업계는 다양한 시기에 개화하는
꽃
샘식물의 식재에 소극적이었다. 이와 같은 국내외 양봉산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는 2020년 '양봉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시행해 양봉산업과 꿀벌 보호에 앞장서고 ... ...
서울서 벚
꽃
개화...역대 두번째로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기준으로 관측도 진행하고 있다. 이 지역의 벚
꽃
은 아직 개화하지 않았다. 전국의 주요 벚
꽃
과 철쭉 군락지의 개화 현황은 기상청 날씨누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밝혀진 OR51E2는 물에 잘 녹는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을 감지하는 1군 냄새수용체다.
꽃
향기를 비롯해 냄새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담당하는 2군 냄새수용체는 구조의 불안정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적인 구조 연구를 통해 냄새분자가 어떻게 특정 냄새수용체에서는 활성화를 ... ...
병맥 vs 캔맥 어느 쪽이 신선할까…“맥주 종류 따라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때보다 알루미늄 캔에 보관됐을 때 성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났다. 맥주에서 과일 향과
꽃
향을 내는 에스테르 성분과 당과 결합해 고소한 향을 일으키는 아미노산 성분의 수치가 맥주를 마실 때도 느껴질 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했다. 반면 IPA는 보관 용기에 따른 성분 변화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 ...
[잠깐과학] 스스로 땅속을 파고드는 씨앗 운반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3.18
고정하죠. 씨앗은 줄기와 꼬리 덕분에 땅속에 콕 박혀 씨앗을 먹는 새를 피해 안전하게
꽃
을 피울 수 있답니다. 연구팀은 참나무 합판으로 국화쥐손이 씨앗 구조를 본떠 로봇을 만들었어요. 로봇의 재료로 나무를 택한 이유는 나무의 세포가 습기가 있는 환경에서 팽창하고 습기가 없는 환경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습으로 전수되는 꿀벌의 8자 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하지만 춤의 정교함이 부족했다. 연구팀은 “성체로부터 배우지 못한 꿀벌들의 8자 춤은
꽃
의 거리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에서 많은 오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태어난 직후 춤을 배우지 못한 꿀벌들은 나중에 다른 꿀벌이 춤을 추는 모습을 보며 재학습을 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곤충을 좀비로 만드는 '이 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25
딱딱한 감염된 오디를 만들어 냅니다. 감염된 오디는 땅에 떨어지고, 이듬해 뽕나무 암
꽃
이 필 시기가 되면 감염된 오디에서 또 다른 오디양주잔버섯이 발생해요. 이 때문에 오디 재배 농가에서는 오디양주잔버섯이 악몽 같은 존재로 취급받고 있어요. 4화에 걸쳐 부생균, 공생균, 기생균을 ... ...
유전자 조작 나무가 탄소 더 흡수할까...미국서 첫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않고 있다. 패트릭 멜러 리빙카본 대표는 "유전자 조작 포플러 나무는 모두 암컷으로
꽃
가루를 생산하지 않는다"며 "남동부에서 가장 흔한 포플러 종들과 교배하지 않기 때문에 야생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또 유전적으로 동일한 나무들을 피하기 위해 튤립 나무, 대머리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