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뉴스
"
대
"(으)로 총 9,886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에 지방 많으면 말라도 심장병 위험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근육에 저장된 지방은 염증과 포도당
대
사에 변화를 일으켜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대
사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과 심장 근육 자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질량지수가 비만을 평가하는 적절한 지표인지 논란이 있다”며 ... ...
AI 유전자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R&D) 기반 구축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10
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에 선정 결과에
대
한 자세한 내용은 바이오인 홈페이지(bioin.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항생제 안 듣는 '슈퍼세균' 감염 연간 4만명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사망자 수는 2023년 661명으로 늘어났다. 2024년 사망자 통계는 오는 6월 확정되며 또 다시 역
대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항생제 내성을 ‘세계 10
대
공중보건 위협’의 하나로 선언했다. 항생제 사용이 늘면서 항생제에 저항하는 힘을 가진 내성균이 증가하고 ... ...
트럼프, 세계보건기구 탈퇴하나…"중국과 관계 가깝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을 WHO에서 탈퇴시키지 않는
대
신 탈퇴를 미국의 입맛
대
로 WHO를 개혁할 수 있는 카드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이 2027년 임기가 끝나기 때문에 그 전에 트럼프 당선인이 사무총장 후보를 추천할 수도 있다 ... ...
빅5 병원 전공의 지원도 10명 내외 그쳐…19일 모집 마감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이들도 2월 있을 추가모집까지 더 기다려본다는 생각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에
대
한 전공의들의 불신이 깊은 만큼 모집 기한 연장이 상황을 반전시키지는 못할 것이란 예상도 적지 않다. ... ...
스마트폰 수천만
대
로 그린 우주날씨 지도
과학동아
l
2025.01.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24년 12월 기준 한국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94.8%다.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는 이 기계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강력한 프로세서가 탑재돼 ...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월호, [과학뉴스] 스마트폰 수천만
대
로 그린 우주날씨 ... ...
부모의 편애 진짜 있다 …"동생, 딸에 호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격려의 의미"라고 밝혔다. 칼 필레머 미국 코넬
대
인간발달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
해 "자녀에게 느끼는 감정은 어쩔 수 없지만 행동하는 방식은 바꿀 수 있다"고 전했다. - doi.org/10.1037/bul000045 ... ...
항우연 원장에 이상철·천문연 원장에 박장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맡고 있다. 1986년 연세
대
천문학과를 졸업한 박 신임 원장은 1988년 같은
대
학교
대
학원에서 천문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 천문연에 입사해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장, 천문연 우주천문연구부장을 지냈다. 2020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한국우주과학회 부회장을 맡았다. 이들은 20일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2025년 항공우주인 신년인사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2025년도 항공우주인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신년사를 하고 있다. 우주항공청 제공 ■ 우주항공청은 17일 서울에서 '2025년 항공 ... 채집한 빙하를 전시해 직접 보고 만지는 기회도 제공한다. 극지연이 지난해 발표한
대
표 캐릭터 '쁘리'도 팝업 곳곳에 등장할 예정이다 ... ...
호모 에렉투스, 나무 없는 '잔인한 사막'에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이라고 설명했다. 메르카데르 교수는 "호모 에렉투스의 성공은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
한 뛰어난 적응력 덕분"이라며 호모 에렉투스의 적응력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의 건조 지역으로 진출하고 자리잡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doi.org/10.1038/s43247-024-01919-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