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거
병거
부부생활
뉴스
"
동서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테헤란로 vs 올림픽대로’ 이산화탄소 차이는?
채널A
l
2014.02.11
배출이가장 심각한 도로는 어디일까요. 이영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동서
를 연결하는 올림픽대로에는 하루에 25만 대가 넘는 차량이 오갑니다. 강남의 중심지 테헤란로는 하루 종일 극심한 정체를 빚습니다. 이런 도로의 특성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자동차 ... ...
中, 美-러 이어 세번째 달 안착… ‘옥토끼’ 표면사진 보내와
동아일보
l
2013.12.16
도, 북위 44.1도로 훙완(虹灣) 구역의 동쪽이다. 훙완 구역은 운석이 달과 충돌하면서 생긴
동서
300km, 남북 100km의 움푹 들어간 곳이다. 창어 3호의 착륙은 주 엔진과 28개의 작은 반동추진 엔진을 이용해 순조롭게 이뤄졌다. 이날 착륙 과정에서 창어 3호는 수분 만에 초속 1.7km에서 ‘0’까지 제어하는 ... ...
나무 껍질에 그린 말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매우 특이한 축조법을 갖고 있다. 하나의 봉토 안인데도 남북 방향의 적석목곽분과
동서
방향의 장방형석실(長方形石室)이 함께 들어 있어 신라묘제의 변천과정을 잘 보여준다.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83호분은 외덧널식의 적석목곽분, 82호분은 동총(東塚)과 서총(西塚)으로 구성된 고분인데 모두 ... ...
[광화문에서]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외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7
아무도 별을 찾으려 들지 않는다. 서울 지도를 펼치면 북한산 자락이 남쪽으로 내려와
동서
로 흐르는 한강을 만나는 교차점에 용산이 있다. 지형으로 보면 용산이 서울의 중심이다. 동아사이언스는 용산에 천체관측관, 천체투영관, 천문공원으로 구성된 과학동아 천문대를 25일 개관했다. 개관을 ... ...
스웨덴 황태자 방한을 기념한 신라의 고분
동아사이언스
l
2013.11.19
제161호 경주동부사적지대 - 이종호 박사 제공 경주동부사적지대(사적 제161호) 일대는
동서
로는 안압지에서부터 교동, 남북으로는 월성 남쪽의 남천에서 현재 고분공원 앞 첨성로에 이르는 광대한 사적지대다. 신라왕경의 중심부였기 때문에 월성 안압지 첨성대 계림 등 중요한 사적이 많을 뿐만 ... ...
신라가 망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크기가 작아 무덤의 주인이 어린 나이에 죽은 왕자일 것으로 추정한다. 금령총과
동서
로 마주한 곳에 ‘금동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신발’이 출토되어 이름이 붙여진 식리총(飾履塚r)이 있다. 금령총과 식리총은 1924년 일제강점기 때 마구잡이로 발굴되어 유적이 크게 훼손되었다. 노서동고분군(사적 ... ...
과학기술문화 교류 흔적 고스란히 담긴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놔둔 채 내부를 관람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경주동부사적지대(사적 제161호) 일대는
동서
로는 안압지에서부터 교동, 남북으로는 월성 남쪽의 남천에서 현재 고분공원 앞 첨성로에 이르는 광대한 사적지대다. 신라왕경의 중심부였기 때문에 월성⋅안압지⋅첨성대⋅계림 등 중요한 사적이 많을 ... ...
경주 곳곳에 숨어있는 왕릉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없다. 대릉원지구의 고분들은 경주 시내의 서남부 반월성의 북쪽부터 노서동에 이르는
동서
약 1킬로미터, 남북 약 1.5킬로미터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대릉’이란 이름은 『삼국사기』의 ‘미추왕이 죽은 뒤 대릉에서 장사 지냈다’는 구절에서 연유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이 지구에 등록된 ... ...
한반도에 불교를 들인 이차돈의 순교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조각되었으며 동쪽에 약합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가 있다.
동서
쪽에 조각된 부처는 확실하지만 남북쪽의 부처는 마모가 심해 분간이 어렵다. 서쪽의 아미타불은 높이 3.9미터로 다른 불상들보다 큰데 머리는 별개의 돌로 둥글게 조각하였지만 오른손을 사라졌다. 양쪽의 ... ...
돌을 떡 다루듯 다룬 백제인의 솜씨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양식을 따랐다. 구조 변경없이 외부만 여러 조각을 새기는 형태도 나타났는데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보물 제1429호)이 그런 예이다. 이들 탑은 정형적인 양식으로 조성된 탑이지만 기단과 1층 옥신에 십이지신상과 사천왕상을 각각 조각했다. 물론 석탑이라 하여 모두 화강암을 사용한 것은 아니며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