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뉴스
"
머리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남아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패터닝 기술로 만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생체 전극은 쥐
머리
에서 3주 동안 안정적으로 뇌 신호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쥐 심장 신호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한번 사용한 전극을 초음파 세척기로 세정한 뒤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재사용까지 할 수 있었다. 고승환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발견했다. 사진에서 물 입자는 스피커가 소리를 보내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이때 물고기
머리
뼈의 귓속 좌우에 들어 있는 감각모가 물 입자의 움직임을 느끼고 대략 어느 쪽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물고기의 '부레'가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줬다. 물고기 몸속의 ... ...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6.29
이전까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인물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렸을 때는
머리
위에 물음표나 차를 끼얹는 주전자가 떠 있곤 했다. 이런 물건들은 차차 전구로 대체됐다.전구가 뛰어난 조명 기술로 사회에 수용되기 위해선 전구라는 기술을 광범위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전기 시스템 구축과 ... ...
지구는 2시! 달은 지금 몇 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22
흐름, 하루의 길이 등이 다릅니다. 우리는 매일 한 번의 낮과 밤을 겪어요. 정오엔 언제나
머리
위에 태양이 뜨고 밤이 되면 깜깜한 어둠이 가득해요. 이는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약 24시간에 한 번 회전하는 자전 운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왼쪽부터) 지구 궤도를 도는 통신 위성, ① 우리나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두 소년 모두 백내장에 걸렸다니 이상했다. 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도 이 상황이 계속
머리
에 남아 자료를 찾아봤다. 그 결과 인도에만 실명인 아이들이 무려 40만 명 가까이 된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됐다. 이 가운데는 소년들처럼 유전 질환인 선천성 백내장이 원인인 경우도 있었다. 수술을 ... ...
정부, 마약중독·자살 예방 R&D 등 보건의료기술에 2조2097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민·관의 여러 주체가 협력해야 하는 바이오 분야에서는 함께
머리
를 맞대고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면서 “향후에도 바이오특위를 통해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R&D 정책을 종합·조정하고 투자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새 '포식자' 육식공룡 발견…"난폭하고 초식공룡이 주식"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다만 카르노타우루스가
머리
에 황소같이 큰 뿔을 갖고 있던 것과 달리 이 공룡의
머리
는 민둥민둥했던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K.이나카얄리가 '아벨의 도마뱀'이란 뜻을 가진 아벨리사우루스과로 분류된다고 설명했다. 아벨리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은 이족 보행을 하면서 날카로운 ... ...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탈모 고민, 해결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25
반응해 모낭이 휴지기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탈모를 치료하려면 모발을
머리
에 이식하거나 모낭을 자극해 모발 생장을 촉진해야 해요. 지난해 11월 권오상 서울대 의대 피부과 교수팀은 모발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소 ALDH2를 세포 안에 있는 소기관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했습니다. 모낭 ... ...
'의대 증원' 최종 확정 앞두고 일부 국립대 반대 변수 불거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0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한 의료관계자가 손으로
머리
를 짚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 인원 확정을 앞두고 있지만 일부 국립대에서 학칙 개정 단계에서 발목이 잡히는 변수가 발생했다. 학칙 개정안이 부결된 대학은 학칙 개정 절차를 다시 밟는다는 계획이지만 ... ...
막 잡아당겨도 '무선통신' 가능한 전자피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m 이상의 장거리에서도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기도 했다. 전자피부 기술을 활용하면
머리
크기가 각기 다른 사람이 입어도 안정적으로 뇌파를 무선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를 만들 수 있다. 큰 신체 동작을 할 때도 작동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할 수도 있다. 전자피부의 기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