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뉴스
"
병원체
"(으)로 총 51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에서 진가 발휘한 mRNA 기술, 영역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코로나19 백신을 처음 개발한 것이다. 백신은
병원체
단백질을 체내에 집어넣어 진짜
병원체
가 체내에 들어올 때 이를 막는 면역반응을 유도해 항체를 생성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코로나19 mRNA 백신은 독성을 없앤 바이러스를 직접 주입하거나 무해한 바이러스(벡터)에 넣어 주입하는 방식, 항원 ... ...
고릴라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단 감염 막는다
과학동아
l
2021.11.04
다른 인간
병원체
로부터 감염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때도 침팬지 무리 사이에는
병원체
가 전파되지 않았고, 각기 독립적으로 인간에게서 감염됐다. doi: 10.1080/22221751.2018.1563456 마운틴 고릴라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다. 인간에게는 비교적 가벼운 호흡기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목적에 맞게 변형할 수 있는 유연함이 있어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조 교수는 “
병원체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포집을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며 “현재 물방울이 떨어지면 먼지를 머금고 굴러가며 씻겨지는 자가 세정 표면 구조를 함께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최근 태양전지 ... ...
머리에 안개 낀 듯 멍한 코로나19 후유증, 뇌혈관장벽 손상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뇌혈관 장벽은 뇌와 혈관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들의 벽으로 뇌에 바이러스 등
병원체
나 독성 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의 뇌 조직을 조사한 결과 미감염 사망자에 비해 손상된 미세혈관의 양이 훨씬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주 저자인 얀 벤젤 ... ...
노벨상 다양성 논란 속 "성·인종 할당제 도입하지 않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0.12
받으며 여성으로만 구성된 최초 공동 수상자가 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
병원체
연구소 교수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포함돼있다. 올해도 노벨상 수상자 가운데 여성은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마리아 레사 필리핀 매체 '래플러' 공동설립자 1명 ... ...
[의학게시판] 서울아산병원 소아간이식팀, 생체간이식 생존율 99% 기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7
유도체 기반 합성연구 플랫폼과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병원체
를 비롯한 리보핵산(RNA)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경구치료제 물질을 발굴해 특허등록을 완료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자사의 임상수행역량과 김 교수팀의 저분자 화합물 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기존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근무 당시 생쥐 흉선에서 T세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흉선이 발달하지 않은 쥐는
병원체
에 쉽게 감염되고 피부 이식에도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쿠퍼 교수는 이를 바탕으로 B세포와 T세포 두 가지로 구성된 면역 시스템을 제안했다. 두 사람의 연구는 세포 면역학의 혁명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바이러스는 야생에서 어떻게 살아남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3
사이언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지칠대로 지친 일상을 다시 단계적으로 회복하는 ... 어렵다”면서도 “지역간 격리돼 있는 버팔로보다 상호 간 접촉이 더 많은 인간은
병원체
가 풍토병이 되기에 더 쉬운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 ...
같은 코로나19 걸렸는데도 더 아픈 사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9
면역계에 이를 알려 바이러스 증식을 방해하는 단백질이다. 대식세포나 자연살해세포가
병원체
를 직접 죽이도록 활성화시키거나, 이미 감염된 세포가 항원을 제시해 B세포가 항체를 만들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인터페론은 인터페론 자극 유전자들을 발현시켜 면역계 반응에 필요한 단백질들을 ... ...
"코로나19는 이제 안보 문제, 자국중심주의로 대응하다 더 악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충분히 준비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 간 협력으로 꼽힌다.
병원체
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발생하고 전파하는 경로에 관해서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 국제협력이 필수가 되고 있다. 강 교수는 “최초 발생 국가가 세계에 이를 알리고 시간을 벌어주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