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뉴스
"
비교적임
"(으)로 총 1,645건 검색되었습니다.
50여 년 전에 했던 달 착륙, 지금은 왜 어려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민간 무인 달 착륙선 '페레그린'을 탑재한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벌컨 센타우르 로켓이 8일(현지 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다. 애스트로보틱 제공 미국에서 민간 최초로 지난 8일(현지시간) 발사한 달 착륙선 '페레그린'이 임무에 실패한 뒤 대기 ... ...
인공위성 '빛 공해'에 자구책 마련 나선 천문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2020년 6월 22일 기준 지구 상공에 떠있는 스타링크 인공위성의 궤도. 천문연 제공 2030년에는 지구저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이 약 5만 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를 위한 위성 발사 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천문학계는 수년 전부터 비상이 걸렸다. 저 ... ...
'비(非)인간 존재' 주장 나스카 미라…"동물뼈 붙인 인형"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지난해 9월 멕시코 의회 청문회에서 '비(非)인간 존재'라 주장하며 제시된 미라.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9월 멕시코 의회 청문회에 '비(非)인간 존재'임을 주장하며 등장했던 정체불명 미라가 사실 접착제로 붙인 동물뼈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페루 법의학연구소 12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병원, CSP 인공심박동기 삽입술 200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부정맥팀(오세일·최의근·이소령·권순일 교수)이 CSP 200례 달성을 기념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제공. ■ 서울대병원은 부정맥 최신 치료 시술인 ‘심장 전도계 조율술(CSP)’ 200례를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순환기내과 부정맥팀이 2021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 200례의 CSP 시 ... ...
엄마는 심장이식, 아들은 인공심장…건강한 새해 맞은 모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왼쪽 두 번째부터 정철현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 인공심장삽입술을 받은 이 씨, 김민석 심장내과 교수를 비롯한 의료진들이 성공적인 치료를 기념하며 지난해 말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심장 근육 이상으로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확장성 심근병증을 앓고 ... ...
강력한 폭발력으로 화성까지…NASA, 차세대 로켓엔진 개발 박차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NASA가 지난해 1월 RDRE의 연소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NASA 제공 미항공우주국(NASA)이 연료 효율을 높여 화성 탐사를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엔진 '회전 폭발 로켓 엔진(RDRE)'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RDRE는 비교적 적은 연료로 추진력을 오래 유지해 우주선의 장기 비행에 적합할 것 ... ...
햇빛만으로 자가발열 극대화한 금나노입자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3
개발한 금 나노 막대 코팅 기법의 효과를 유리기판에 적용해 확인했다. KAIST 제공 햇빛만으로 결빙을 방지해 항공기 방빙 등 겨울철 산업 현장 곳곳에서 쓰일 수 있는 '금 나노 입자' 필름이 개발됐다. KAIST는 김형수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윤동기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햇빛에도 ... ...
KAIST, 이산화탄소 분해 과정 '원자 수준'에서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KAIST 연구팀의 논문이 게재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속표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구리 단원자 촉매 전극 표면에서 일어나는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실시간 관찰했다. 이산화탄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활성 촉매 형성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 ... ...
알츠하이머 새 발병 메커니즘 규명...'오토파지' 활성과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분자적 발병 메커니즘을 찾아낸 연구진. 아주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치매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분자적 발병 메커니즘을 찾아냈다. 아주대는 장재락 의대 뇌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세포내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메 ... ...
크리스마스 트리가 우주에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5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공개한 '크리스마스 트리를 닮은 성단' NGC22의 이미지. NASA 제공 우주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닮은 성단이 촬영됐다. 25일 과학계에 따르면 미국 우주항공국(NASA)은 찬드라 X선 관측소에서 촬영된 성단 'NGC22'의 이미지를 최근 공개했다. 일명 '크리스마스 트리 성단'으로 알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