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뉴스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3,1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UNIST, 소형 원전 원격 감시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감지하며 이를 증강현실(AR) 기반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사람
이 감지하기 힘든 원전 내부의 열변형 및 위험 징후를 인공지능이 상시 정밀 모니터링하도록 해 차세대 소형 원자로의 안전성과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 교수는 "접근이 어렵고 시간과 ... ...
사람
체온·공장 배관에서 에너지 수확하는 섬유형 열전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이를 회수해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는다. 우리 주변에서 열을 내는 열원은
사람
, 차량 배기구 등 대부분 휘어진 곡면 형태로 이뤄졌다. 세라믹 재료로 만든 무기 열전 소재는 열전 성능은 높지만 충격에 깨지기 쉬워 곡선형 제작이 어렵다. 고분자를 사용한 유연 열전 소재는 다양한 ... ...
정자는 어떻게 난자에 달라붙을까…AI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정자의 머리에 위치한 3개의 단백질이 난자 세포 표면에 고정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사람
의 정자와 난자를 수정하는 실험은 비윤리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를 이용한 ‘계산 모델링’은 생물학 분야의 매우 중요한 연구 대안이 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앞서 척추동물의 수정에 관여하는 여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나타날까. ● 보상 아주 크면 성공률 떨어져 얼핏 생각하면 압박감으로 인한 경직은
사람
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처럼 느껴진다. 뭔가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성취하려는 노력 ... 잭팟 보상 신호를 보면 오히려 성공률이 떨어졌다. 즉 보상 크기에 따른 성공률은
사람
과 마찬가지로 '뒤집힌 U자 ... ...
축구 프로그램, 교도소 수감자 '사회 복귀' 도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행동과 출소 후 사회 복귀 양상을 확인했다. 출소 후 취업 등 사회 복귀에
성공한
수감자들에게 어떤 요인이 이들의 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쳤는지 설문 ... 트위닝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2개월간 교도소 내 규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람
은 100명당 15명이었다. 같은 기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 ...
인간의 냄새 구분 속도, 눈 깜빡이는 속도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방법으로 접근해 냄새의 '시간적 해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사람
의 코에 두 가지 냄새를 최소 18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차이를 두고 정확히 전달할 수 ... 냄새의 변화를 1~3초 정도 지속되는 한 번의 '냄새 맡기' 행동 안에 인지할 수 있었다.
사람
이 눈을 깜빡이는 ... ...
'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발사 후 성공적으로 회수했다. 스타십 재사용을 위해 처음 회수에 시도해
성공한
것이라 화성 개척이 머지 않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스페이스X는 1 ...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스타십을 개발해왔다. 우주선 스타십에는 80~120명의
사람
이 탈 수 있다. 스타십은 NASA가 반세기 만에 인류를 다시 ... ...
"연구책임자는 치어리더"…제자가 말하는 베이커 교수의 이유 있는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생각한다'라고 말했던 것이 잊혀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베이커랩에는 300명이 넘는
사람
이 있다. 제자들의 기억에 따르면 베이커 교수의 취미는 연구실을 돌아다니면서 연구원 ... 하는데 그 연결을 도왔던 것이 베이커 교수"라고 말했다. 이 교수도 "베이커 교수는
사람
과
사람
을 연결해주는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단백질 설계에 도전하다 베이커 교수는 2003년 많은
사람
들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컴퓨터로 설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베이커 교수 연구팀이 개발해 활용하던 분자 역학 모델을 이용해 분자의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거의 2억 개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알파폴드2는 190개국 200만명 이상의
사람
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벨위원회는 "생명체는 단백질 없이 존재할 수 없다"며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직접 단백질을 설계할 수 있게 된 것은 인류의 가장 큰 혜택"이라고 선정 이유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