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밀 약물 전달 가능해지나…엑소좀에 치료물질 안정 부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엑소좀 표면을 변형하지 않고도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만들었다.
실험
을 통해 맞춤형 엑소좀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초정밀 현미경 기술을 활용해 개별 엑소좀에 부착된 약물의 양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도 성공했다. 기존 치료제 개발 과정에서 ... ...
[사이언스영상] 진동으로 침입자 쫓아내는 애벌레
SEIZE
l
2025.04.10
낸 것이다. 애벌레의 경고음은 침입자를 쫓아내는 데 효과가 있었다. 총 18번의
실험
중 10번은 기존 애벌레가 침입자를 쫓아내는 데 성공했다. 경고음에도 불구하고 침입자를 쫓아내지 못할 경우 애벌레는 잎 끝에서 자신이 친 실을 타고 뛰어내리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애벌레는 위급한 ... ...
드립커피 원두 아끼는 과학적 방법…"높은 곳에서 물줄기 안끊기게"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진행해 커피에 녹아 나온 용존 고형물의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도 실리카겔 입자
실험
에서 예측된 것과 같았다. 물의 유량과 붓는 높이만을 변화시켜 커피 추출 효율을 높인 것이다. 연구팀은 가정에서 분쇄 커피의 양을 10% 줄이고 안전을 위해 약 30cm 한도 내에서 다양한 높이로 물을 부어 보며 ... ...
만지는 것과 만져지는 것, 뇌는 다르게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살폈다. 연구팀은 쥐의 수동적 촉각을 일으키기 위해 수염에 공기를 불어 넣었다.
실험
결과 쥐가 직접 물체를 만지는 능동적 촉각과 연구팀이 공기를 불어 넣는 수동적 촉각 모두에서 시상이 활성화됐다. 능동적 촉각과 관련해서는 물체를 만지는 동안보다 만지기 전에 시상이 더 많이 ... ...
서버 안 올려도 셀카를 지브리풍으로…사생활 보호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생성한다. UNIST 제공. 프리즘은 AI 성능 검증에 쓰는 데이터셋인 MNIST, FMNIST, CelebA, CIFAR10
실험
에서 기존 방식보다 통신량은 적으면서 이미지 생성 품질은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MNIST 데이터셋을 이용했을 땐 지브리풍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퓨전 모델(이미지 생성 AI)과도 호환성을 보였다. 최근 ... ...
[사이언스영상] 우주에서 담근 된장의 맛
SEIZE
l
2025.04.09
미소를 용기에 담아 ISS로 보냈다. 미소는 ISS에서 30일 동안 발효됐다. 같은 기간 지구
실험
실에서도 미소를 발효시켰다. 연구팀은 ISS에서 가져온 미소와 지구 미소의 맛을 비교했다. 우주 미소는 견과류 맛과 구운 향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 미생물 군집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미소의 발효 과정에서 ... ...
DNA까지 침투…나노플라스틱 생성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실험
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이 나노플라스틱으로 분해되고 있다. Kumar Research Group 제공 통상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미터·1000나노미터) 미만 플라스틱으로 일컫는 '나노플라스틱'이 생성되는 과정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나노플라스틱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분자 수준에서 ... ...
세계 첫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 국내서 개발…"품목허가로 자급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없는 것으로 나타나 백신의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됐다. 임상3상 시험 대체 동물
실험
에서 높은 탄저 독소 중화 항체가(특정 항원에 대해 만들어진 항체 수치)가 유지됐다. 탄저균 포자 공격에 대해서도 높은 생존율이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다양한 감염병에 대한 국내 백신 개발을 ... ...
소재 공공데이터 300만건 개방해 AI기반 소재연구 활성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수 있도록 개방한다. 과기정통부는 "원료, 조성, 공정에 따른 다양한 소재 특성을 담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R&D 성공률을 제고하고 데이터 기반 창업도 촉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소재 분야 기업·연구기관이 함께한 '데이터·AI 기반 소재 R&D 간담회'를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나노입자 결합시켜 열로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8
분해하고 결과적으로 세균이 사멸됐다. 연구팀은 패혈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
결과 제작한 지질나노입자에 의해 세균 몸속으로 들어간 유전물질이 치명적인 유전자 교정을 일으켜 세균을 사멸시키고 패혈증을 성공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인체의 유익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