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뉴스
"
정보전달
"(으)로 총 1,797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사용철·김태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왼쪽부터 대기업 부문 수상자 사용철 LG전자(주) 연구위원, 김태정 (주)하멕스 대표이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상업용 멀티 시스템에어컨을 개발한 사용철 LG전자 연구위원과 철강산업 전기공정에서 사용되는 필수 소재 국산화에 기여한 김태정 하멕스 대표이 ... ...
국내 연구진, 3차원 초고집적 뉴로모픽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국내 연구진이 영하 200℃에서 합성한 2차원 소재의 '배리어층'을 이용해 인공지능(AI) 반도체에 사용되는 3차원 초고집적 뉴로모픽 시냅스 소자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영하 200℃에서 합성한 2차원 소재의 '배리어층'을 이용해 인공지능(AI) 반도체에 사용되는 3차원 초고집 ... ...
'뉴런' 계산모델 60년만에 '업데이트'…"AI인공신경망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챗GPT 등 최신 인공지능(AI) 도구에 쓰이는 '인공신경망'은 인간 뇌를 모방해 만들어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구현하는 데 쓰이는 인공신경망은 1960년대 계산 모델로 구현한 인간 신경세포 뉴런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최근에 각광받는 기술이지만 기술 구현을 위한 계산 ... ...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 '별세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국내 연구팀이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를 활용해 경미한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신경병증성 치료의 실마리를 찾았다. . Rost-9D/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를 활용해 경미한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를 찾 ... ...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두뇌 발달 ‘열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국내 연구진이 외·내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뇌 기능이 성장 시기별로 형성되는 과정을 최초로 확인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아이들의 뇌에서 외적‧내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뇌 기능이 성장 시기별로 형성되는 과정을 최초로 확인했다. 뇌 기능 발달 부진으로 인한 자폐, 조현병 등 ... ...
텍스트 입력만으로 정밀한 3D 동작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UNIST 연구팀이 개발한 동작 생성 기술(Text2HOI)은 '사과를 양손으로 전달해'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손과 사과 간의 가능한 접촉 지점을 확률적으로 계산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단순한 텍스트 입력만으로 정밀한 3D 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승렬 인공지 ... ...
황보라 "의료파업에 무통 못 맞았다"…의협 "명백한 허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유튜브 채널 '웤톡' 영상 캡처. 배우 황보라 씨가 의료계 파업으로 국소마취제 없이 제왕절개를 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 대한의사협회는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언론 보도 정정을 요청했다. 황 씨는 지난 16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제왕절개 수술로 출산한 후기를 이야기했다. 그는 제왕절 ... ...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국내 연구진이 쾌락과 통증이 같은 뇌의 영역에서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통증과 쾌락 두 가지 경험에 모두 반응하는 뇌 영역이 확인됐다. 통증과 쾌락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우충완 IBS 뇌과학 이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장재은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가장 왼쪽)와 권혁준 교수(가장 오른쪽) 공동연구팀.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레이저를 활용해 선택적으로 열처리가 가능한 고효율 AI(인공지능) 반도체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AI형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인공지능(AI)의 발전 등으로 데이터 생산과 처리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데이터 저장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강유전체를 활용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에 신소재와 새로운 소자 구조를 적용해 정보 저장 능력을 향상했다. 포스텍은 이장식 신소재공학과·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