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염
토양
뉴스
"
토양오염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박테리아가 있는 곳 어디서나 박테리오파지가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 ... ...
아폴로 호 달 샘플에 묻은 유기물의 출처는 지구!
2015.10.29
'아폴로 미션' 수행 중 달 표면에서 채취한 토양 샘플을 들고 있는 우주인의 모습. - NASA 제공 1970년대 초 아폴로 16호, 17호가 달에서 가져온 토양 시료에서 유기물이 발견돼 주위를 놀라게 한 사건이 있었다. 탄소가 함유된 화합물을 뜻하는 유기물은 생명체의 재료이자 생명체가 만드는 대표적인 ... ...
추석, 헤이즈의 습격
2015.10.04
지난 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이 황사로 뒤덮인 서울 시내 풍경을 배경삼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동아일보 제공 해마다 봄이면 우리나라를 찾는 불청객으로 황사가 꼽힌다. 황사는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황사는 보통 몽골이나 ... ...
식물이 ‘TNT’ 공격에 살아남는 법
2015.09.06
강력한 폭발력으로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사용된 TNT(2,4,6-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는 폭약의 임무를 수행한 뒤에도 오랫동안 토양에 남는 독성물질이다. 이 독성은 토양에 살던 토박이 세균과 식물의 생존을 위협한다. 특히 식물의 경우 뿌리에 TNT가 쌓이면 성장과 발달을 저해한다고 알려졌다. ... ...
검은 흙이 5분 만에 하얀 흙으로
2015.07.13
기름에 오염된 자갈(왼쪽)을 마이크로파로 처리하자 고열이 발생해 토양에 흡착된 기름이 날아가고 깨끗한 자갈(오른쪽)만 남았다.-철도연 제공 석유에 찌든 시커먼 흙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길쭉한 기계로 빨려 들어갔다. 5분 뒤 쏟아져 나온 흙은 새하얗게 바뀌어 있었다. 10일 오전 경기 의왕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2007월 12월 11일, 당시 ‘과학동아’ 기자였던 필자는 동료 기자와 함께 차를 몰고 충남 태안으로 취재를 떠났다. 태안반도로 들어가는 길목에서 창문을 내리자 마치 주유소에 온 것 처럼 기름냄새가 풍겼다. 유조선이 좌초돼 기름이 흘러나온 지 4일이 지난 시점임을 생각하면 충격적인 상황이었다.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파리그린(Paris green)이다. 농민들은 안도했지만 워낙 유해한 물질이라 시간이 지나면서
토양오염
과 중독 등 문제점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결국 1910년 미국에서 살충제법(Insecticide Act)이 통과되면서 살충제가 관리되는 시대에 들어갔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1937년 미국에서 독성학의 역사에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구조인 ACQ라는 화합물이 도입됐다. ACQ는 흰개미 퇴치 등 목재보존력은 비슷하면서도
토양오염
등 문제는 훨씬 적은 것으로 밝혀져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ACQ를 처리한 목재에서 유출되는 구리가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은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 필자들은 ... ...
방사능 오염 토양에서 건강하게 식물 자랄 수 있다
2015.03.05
세슘에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식물(위쪽). 성장이 더디고, 잎이 병든 모습이 보인다. 반면 세스톨렌A와 함께 재배한 경우 식물 성장과 잎 건강 모두 개선됐다(아래). - 일본 이화학연구소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한 일본 연구진이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에서도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강이나 호수 등에 서식하며 ‘녹차 라테’로 오명을 떨쳤던 미세조류(일명 녹조류)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승엽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책임연구원팀은 서강대 정광환·이승엽 교수팀과 공동으로 미세조류가 햇빛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