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뉴스
"
해발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온난화로 눈(雪) 줄면서 물 부족으로 이어질 것”
2015.11.15
레서 코카서스 산(
해발
822m)에 눈이 쌓인 모습. 2060년에는 이 풍경을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 다리오 마틴-베니토 컬럼비아대 지구연구소 연구원 제공 지구온난화로 적설량이 계속 줄어 2060년에는 전 세계 20억 명 이상이 물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저스틴 맨킨 미국 ... ...
올 추석 보름달은 17시 50분에 ‘슈퍼문’ 보세요~
2015.09.17
올해 3월 6일에 뜬 가장 작은 보름달에 비해서는 14% 크게 보일 예정이다. 주요 도시별
해발
0m 기준 달이 뜨고 지닌 시각. 다른 지역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 '월별 해/달 출몰시각(astro.kasi.re.kr)'을 참고하면 된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
극심한 가뭄, 대한민국이 타들어간다
동아일보
l
2015.06.12
보통 이맘때면 모종을 심어야 하는데 땅 아래 20cm 정도까지 바짝 말라 심을 수가 없다.
해발
800∼850m 고지대까지 물을 끌어오는 건 엄두가 나지 않는다. 모종 심기를 마친 배추밭에서는 잎마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영농 차질은 경기, 강원, 충청 지역 곳곳에서 빚어지고 있다. 특히 전국 고랭지 ... ...
여진 계속… 사망자 하루새 1700명 늘어
동아일보
l
2015.04.28
- 네팔인들 가족실종 소식에 귀국행렬… 공항 ‘통곡의 바다’ - 고립된 산악인 100여명 ‘
해발
6000m의 사투’ - “힘내라, 네팔”… 그들의 눈물 닦아주려 지구촌 뭉쳤다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전략이 있다고 설명했다. 태안 해변에서 본 큰뒷부리도요의 경우 한 번 비행을 시작하면
해발
6000m 고도에서 내려오지 않고 수일 동안 날아간다. 고도 수천m 높이의 순풍을 타고 최적의 이동 경로로 이동해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철새 이동 고도(철새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쓰기 ... ...
네팔, 인도판-유라시아판 충돌 지점… 학자 50명 1주일전 현지서 대책회의
동아일보
l
2015.04.27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네팔이 에베레스트 산 등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해발
고도가 높은 나라이지만, 2500만 년 전 인도판이 유리시아판과 충돌하기 전까지만 해도 이곳은 바닷속에 있었다. 인도판이 계속 유라시아판을 밀어 올리면서 융기하기 시작했고 그 충돌 에너지가 수십 년을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이상 걸린다. 소나무재선충병의 연간 확산 거리가 3km라는 연구 결과에 기반한 계산이다.
해발
700m 이상까지는 매개곤충이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단기간 내 소나무가 멸종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게다가 총력으로 방제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멸종 위험이 훨씬 낮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 ...
취약종 일리피카 재등장, 피카츄 실제 모델 멸종 됐는 줄 알았는데…“깜짝+화들짝”
동아닷컴
l
2015.03.25
9월 일리피카 한마리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일리피카는 다른 피카와 마찬가지로
해발
2800∼4100m의 고산지대에 주로 서식하며 환경 변화에 민감하다. 1990년대 약 2000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이후 목초지 감소와 대기오염 등 영향으로 개체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일리피카는 ... ...
한국 극지 대원들이 남극 화산 활동 발견했다
2015.01.16
일 밝혔다. 장보고기지는 작년 2월 12일 완공된 우리나라 남극 제2과학기지로 멜버른 화산(
해발
2732m)은 장보고기지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져 있다. 멜버른 화산의 가스 분출이 관측된 것은 지난 1980년대 말 이후 약 25년 만에 처음이다. 앞으로 본격적인 화산분출로 이어질 수 있어 학계의 비상한 ... ...
정신력과 집중력+물리학 지식이 '전설의 저격수' 만든다
2015.01.16
공기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탄환이 더 멀리 날아간다.
해발
0m에서 영점을 잡은 총으로
해발
1.5km의 태백산 정상에서 1km 떨어진 표적을 향해 방아쇠를 당기면 목표 지점에서 1m 정도 벗어난다. 대기 중 습도도 탄환의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 습도가 높으면 탄환의 회전이 더디다. 저격수들은 실험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