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화학기계"(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KAIST, 전해질 첨가제로 최초 장수명 배터리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16
- 최남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최남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저비용 리튬인산철 양극과 흑연 음극으로 구성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상온 및 고온 수명 횟수를 늘린 전해질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전해질 첨가제는 흑연 음극 ... ...
- KAIST·포스텍에 원자력안전 대학원 생긴다동아사이언스 l2024.05.16
- 16일 오전 서울 중구에서 '원자력안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약(MOU) 체결 및 다짐대회'가 진행됐다. 원안위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대학 학부생만을 대상으로 지원하던 원자력 안전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대학원으로 처음 확대된다. 첫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KAIST와 포스텍은 이번달부터 원자력 ... ...
- [과기원NOW] GIST, 제2회 해커톤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14
- 제2회 헬로우 월드 해커톤 대회에서 대상(AIX School 대학원장상)을 수상한 DASH팀.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인공지능(AI) 기술에 관심 있는 학생을 발굴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제2회 헬로우 월드 해커톤’ 대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차별문제, 정신 ... ...
- 안전성 높은 전고체전지 실용화 앞당기는 고체전해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5.1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고체전지는 액체전해질 대신 고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다. 외부 충격에 따른 누액 위험이 없어 안정성이 높은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는다. 국내 연구팀이 얇고 안정적인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해 전고체전지 실용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 ...
- [과기원NOW] 포스텍, 기존 음향 메타렌즈 한계 극복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09
- 왼쪽부터 이번 연구에 참여한 노준석 포스텍 교수와 이동우, 오범석 포스텍 박사.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음향 메타렌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넓은 청야각 메타렌즈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청야각은 렌즈가 얼마나 ... ...
- [과기원NOW] 포스텍, '아이스 아메리카노'에서 영감 얻어 전기전도도 우수한 금속유기 구조체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5.03
- 다공성 소재를 용매에 잘 녹이면서 높은 전기전도도를 기록한 2차원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박선아 포스텍 화학과 교수, 박근찬 석박사 통합과정생.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박선아 화학과 교수와 크리스토퍼 핸던 미국 오리건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다공성 소재를 용매 ... ...
- '좀비마약' 펜타닐, 소량도 감지하는 센서 등장동아사이언스 l2024.05.03
- 펜타닐을 기존 대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센서가 등장했다. Bacsic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쌀알 2개 정도의 분량만으로도 사망에 이르는 최악의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감지를 기존 기술에 비해 6배 늘린 센서가 개발됐다. 알렉산더 스타 미국 피츠버그대 화학과 교수 연구 ... ...
- [과기원NOW] KAIST, 인텔·네이버와 'AI 공동연구센터' 구축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30
- 이광형 KAIST 총장(왼쪽)과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가 30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NAVER·intel·KAIST AI 공동연구센터’ 설립 업무협약식을 하고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네이버, 인텔과 인공지능(AI) 공동연구센터를 구축한다고 30일 밝혔다. 올 상반기 중 'NAVER·intel·KAIST AI 공동연구센터’를 설치 ... ...
- [과기원NOW] KAIST, 세계 최고 수준 유기용매 여과용 초박막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29
- 고동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고동연·임성갑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에 분리하기 어려웠던 크기의 활성 제약 분자들을 매우 높은 선택도로 분리할 수 있는 초박막 분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쓰이는 고분자 ... ...
- [과기원NOW] 포스텍·대구한의대, 신장 출혈과 회복 돕는 지혈 스펀지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25
- 신장용 지혈 밴드를 개발한 포스텍 연구진.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끈 연구팀이 이재연 대구한의대 반려동물보건학과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신장 내 출혈 부위를 빠르게 지혈하고 회복을 돕는 소재를 개발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에 게재했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