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스페셜
"
마리
"(으)로 총 406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접착단백질을 홍합에서 직접 추출하는 경우 1g을 얻기 위해 1만
마리
가 필요했다. 분자생명공학연구실은 2007년 홍합접착단백질을 미생물 배양을 이용해 대량생산하는 원천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지속적인 제형연구를 통해 실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
2021.01.19
만나면 십중팔구는 공격당해 죽는다. 침팬지는 큰 희생이 따르는 전면전보다는 여러
마리
가 팀을 짜서 매복과 습격을 통해 한두 개체씩 제거해 상대 무리를 궤멸시키는 전략을 쓴다. 수렵채취인 역시 같은 방식으로 다른 집단의 구성원을 없앤다. 반면 보노보는 낯선 두 무리가 만나도 피를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세계 최대 밍크 모피 생산국인 덴마크에서는 수백만
마리
의 밍크를 살처분했다. 실제 덴마크에서는 밍크들 간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전파되는 동안 다중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RBD 돌연변이 Y453F 및 결실 69-70 포함)를 가진 변이체가 출현했다(Laussauniere et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수상한 가장 어린 나이이다. 또한 부모와 자식이 노벨상을 받은 경우는 더러 있으나(
마리
퀴리와 이렌 졸리오-퀴리, J.J. 톰슨과 G.P. 톰슨 등) 같은 해에 공동수상한 경우는 브래그 부자가 유일하다. 의사들은 인체에, 물리학자들은 소금(NaCl)이나 다이아몬드 같은 결정체에 엑스선을 쏘아 재미를 ... ...
임상 3상 끝나기도 전인데…인도, 자국 코로나 백신 ‘코박신’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백신이며, 면역 반응 생성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붉은털원숭이 20
마리
를 이용해 진행한 전임상시험(동물실험)에서 4개 그룹으로 나눠 실험한 결과 강력한 면역 반응을 형성했고, 임상 1상과 2상에서는 이중맹검법으로 어린이가 포함된 800명에 대해 임상시험을 진행해 항체 형성 ... ...
신축년 코로나19 극복의 해 될까…치료제 여기 있'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항체 농도도 2배 높다. 에디 설리번 SAb 바이오테라퓨틱스 최고경영자(CEO)는 “매달 한
마리
의 젖소가 수백 명의 환자를 치료할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개발중인 항체치료제는 바이러스의 특정 부위 하나만을 공격하는 ‘단일클론항체’다. 반면 소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여러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
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떨어지던 연성과 전기전도도는 기존 알루미늄 아연 합금과 비슷한 성능을 유지했다.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한 것이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머티리얼즈 사이언스’ 8월호에 발표됐다. 한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합금은 일반 생산 공정에 그대로 활용할 수 ... ...
[인간 행동의 진화]개는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되었나
2020.12.20
이렇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다. 개와 인간의 만남도 그랬다. 4만 년 전, ‘이제 개라도 한
마리
키울까? 늑대를 먼저 길들여서 개로 만들어야지’라고 생각한 원시인은 없었다. 회색늑대도 마찬가지다. ‘더 두 발로 걷는 동물을 보면 왠지 꼬리를 치고 싶단 말이야. 같이 살자고 청해야지’라고 ... ...
해양 온난화가 맹독조류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발견되기도 했다. 약 30년 후인 1998년 이번엔 캘리포니아 연안에 사는 바다사자 수백
마리
가 방향 감각을 잃어버린 채 이리저리 헤매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일부는 바다에서 강으로 거슬러 와 도시까지 이동하는 이상 행동을 보였다. 해양 과학자들은 새와 바다사자가 보이는 이상행동의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자연 현상이다. 변증법적 역사 발전의 숙명적 과정이 아니다. 각각의 똥 덩어리에서 천
마리
의 수컷 똥파리가 경쟁한다. 일부는 ‘패배’하여 얼른 떠나고, 일부는 몇 시간이고 ‘투쟁’하다가 번식에 성공할 것이다(사실 번식 적합도는 같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똥 덩어리마다 계속 반복될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