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이크로폰
마익
월튼
키보드
알유진
요세프컴퍼니
요셉
스페셜
"
마이크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학자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뼈가 발굴된 지층을 면밀히 재조사한 결과 토양이 무너져 지층이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지층에서 발견된 시료를 갖고 ... ...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하베스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인 ‘발전마루’를 제작했다.
마이크
로 규모의 에너지 하베스팅의 대표적인 사례는 압전 나노선을 활용한 것이다. 나노선을 활용한 전력 발생 소자기술은 2009년 에서 미래 10대 유망 기술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다.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
2015.04.12
수준이며 앞으로 더 작은 스마트더스트를 개발할 것”이라며 “컴퓨터 크기를 수 백
마이크
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까지 줄이면 인간의 세포 속에 삽입 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별도의 배터리를 연결할 필요도 없어 삶의 질이 훨씬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와
마이크
가 필요 없는 인공와우 소자를 개발한 건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이 소자는 초소형 전자부품을 사용해 와우 속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분리해 주는 유모세포의 기능을 모방했다. 압전소자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0개의 모터를 달아서 정교한 움직임을 보인다. 주변 사물과 사람의 표정을 인식하기 위해
마이크
4대, 카메라 4대, 터치센서 5개, 중력센서 2개도 탑재했다. 페퍼는 사람의 표정과 목소리를 분석해 감정 상태를 알아내고 그에 적합한 반응으로 대화를 이어간다. 페퍼는 시연회에서 손 회장과 일본어로 ... ...
'우주의 미스터리' 암흑물질 액시온을 찾아서
IBS
l
2014.05.14
오는 액시온을 찾으려는 실험(ADMX)을 추진하고 있다. CERN은 태양망원경을, 워싱턴대는
마이크
로 공동(micro cavity)을 각각 이용한다. IBS 연구단은 '한국형 액시온 실험'으로 이런 경쟁에서 앞서나가려 한다. 연구단은 초전도 양자간섭소자(SQUID)를 이용한 액시온 검출기를 연구, 개발할 계획이다. "2013년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박테리아 게놈들과 비교한 결과 별도의 문(phylum)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텍토
마이크
로비아(Tectomicrobia)’라는 새로운 문을 제안했다. ‘숨기다’ 또는 ‘보호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테게레(tegere)에서 따온 이름으로, 이 박테리아가 오랫동안 실체를 숨겨왔다는 사실과 독소물질을 분비해 ... ...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l
2014.02.20
것이다. 특히 전자제품에 쓰이는 반도체를 검출하는 전파를 발사하면 벽 뒤에 카메라나
마이크
가 있는지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레이더가 아닌 엑스선을 이용하기도 한다. 유선도청에 대해서는 기기가 주고받는 전자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다른 곳으로 정보가 새지 않는지 점검한다. 무선도청 ... ...
도청의 세계② 창과 방패로 얽힌 도청·방지기술
KISTI
l
2014.01.09
같은 콘텐츠를 비롯해 각종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마이크
로소프트(MS)는 사용자들의 스카이프 영상 대화, 아웃룩닷컴을 통한 e메일 채팅 정보, 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 정보 등을 NSA에 제공했다. ▪ 오가는 주파수 잡아채는 무선 도청도 성행 유선 도청이 ... ...
[채널A] 초소형 ‘박테리아 로봇’ 개발…암치료 새 길 열린다
채널A
l
2013.12.18
뿌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인터뷰: 민정준/전남대 의대 핵의학교실 교수] 30분 정도에
마이크
로 구조체들이 암 조직에서 보이기 시작했고요. 하루 정도 지나면 굉장히 많은 수로 암 전체 조직에 퍼져 있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박테리오봇은 초기 암세포에까지 침투할 수 있어 상용화될 경우 암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