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발명"(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는 촉매를 이용해 인류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하버-보슈법을 발명했다. 이들은 질소비료에 필요한 암모니아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 Wikipedia 제공 사실 우리 생활 곳곳에서도 촉매의 활약은 계속되고 있다. 추울 때 손으로 만져주면 따뜻해지는 주머니난로, ...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2016.03.21
- 호모 에렉투스의 특징적인 진화가 가능했다는 말이다. 물론 그 뒤에 불을 이용한 요리를 발명하면서 저작의 부담이 더 줄어들고 소화효율이 더 높아진 건 사실이지만 결정적인 진화요인은 도구사용을 통한 식재료의 가공이라는 말이다.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30편 가운데 리버만 교수의 논문이 ...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2016.03.15
- 얻었다.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은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연구소 슈테판 헬 소장이 발명한 장치로 헬 소장에게 2014년 노벨화학상을 안겨줬다.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이란 형광물질을 넣은 관찰대상에 레이저빔을 쏴 형광이 나오게 한 뒤 나노미터 크기의 부피를 제외한 다른 곳에 또 다른 레이저빔을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맨눈으로 관찰한 눈결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한편 영국의 로버트 훅은 막 발명된 현미경으로 눈결정을 관찰해 직접 그린 그림을 1665년 저서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 실었다. 과학책으로 최초의 베스트셀러였던 이 책에 실린 그림을 통해 사람들은 눈결정이 얼마나 다양한가에 대해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2016.01.05
- 두텁다. 1933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색스는 부모가 의사였고 집안에 의사, 과학자, 발명가 등 ‘이과’ 친척들이 많았다. 색스는 어린 시절 화학자를 꿈꾸었는데, 텅스텐 채굴 사업을 하던 삼촌 데이브의 별명인 ‘엉클 텅스텐’을 제목으로 한 회상기(2001년)를 쓰기도 했다. 그럼에도 옥스퍼드대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2015.12.24
- 나오는 포인터를 한번쯤은 사용해봤을 것이다. 이처럼 일상생활 곳곳에 쓰이는 레이저를 발명한 과학자 가운데 한 명인 찰스 타운스(Charles Townes)가 한 세기에 걸친 생을 마치고 영면했다. 1915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에서 태어난 타운스는 1935년 퍼먼대에서 물리학과 현대언어학으로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과학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자석을 이용해 만든 핵융합 장치 ‘토카막(Tokamak)’을 발명했다. 플라즈마가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해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면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문제는 일반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만들 경우 ... ...
- 늦잠 자는 이유, 당신 탓이 아니다KISTI l2015.11.17
- 한다. 영국의 수상 처칠도 같은 방법으로 하루 4시간 이하로 잤고, 나폴레옹과 발명왕 에디슨도 하루에 4시간 이상 자지 않았다. 반면 아인슈타인은 매일 11시간씩 잤던 늦잠꾸러기로 유명하다. 이렇게 짧게 자고도 괜찮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긴 시간을 자야만 괜찮은 사람이 있다. 수면을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3] KSTAR의 극저온냉각장치에 대해 알아보자2015.11.11
- 이용하여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제어하는 “인공태양”이라고 불리는 토카막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두 번째 문제가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켰더니 저항 때문에 열이 발생하여 자기장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공격할 뿐 진핵생물은 건드리지 않는다. 참고로 박테리아파지의 실체는 전자현미경이 발명된 1930년대에야 확인됐다. 그 뒤 생명과학의 연구가 분자생물학을 지향하면서 파지가 유용한 실험재료가 됐다. 박테리아 배양액만 있으면 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짧은 시간 내에 증식하기 때문에 결과를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