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범죄"(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이 사건은 어쩌면 우리사회의 폭력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범죄사에 기록될지도 모른다. 물론 필자가 지나치게 반응하는 것일 수도 있다. 뉴스는 인구 5000만이 사는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모아 전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내 주변에서 그런 사건이 일어날 확률은 ... ...
- 더우면 난폭해진다, 진짜일까?2016.08.09
-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더위를 느낀 경찰관들이 덥지 않았던 경찰관들에 비해 범죄 용의자를 더 위협적이고 공격적으로 지각하고, 더 높은 확률로 무기를 꺼내들었다고 한다(Vrij et al., 1994). 더울 때는 조금만 건드려도 더 큰 감정적 반응과 함께 폭발할 수 있으며 경찰관도 예외는 아님을 보여준다. ...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2016.07.19
- 독일 과학자들은 나치와 함께 일했습니다. 하이젠베르크조차도 있는 힘을 다해서 이 범죄자들을 위해 일했습니다. - 막스 보른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미국인이 우라늄 폭탄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들은 모두 이류밖에는 안되겠지요. 가엾은 하이젠베르크. - 오토 한, ...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2016.03.29
- 비해 ‘흑인’에 대한 적대심이 높아졌다. 또 흑인에 대해 표출되는 여러 편견(걔들은 다 범죄자야. 상종할 수 없어 등)을 어디까지 용인할 수 있냐고 질문했을 때도 꽤 심각한 편견에 대해서도 ‘괜찮다’고 하는 태도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테러’라는 극단적인 행위를 예로 들었지만, ...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2015.06.02
- 위조가 가능하다. 심지어 지문인식 자동차를 훔치기 위해 주인의 손가락을 자르는 흉악범죄도 실제로 등장했다. 인식기기에 등록된 정보가 안전하게 보존된다고 볼 수도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는 해킹에 의해 1억 건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주민등록번호 대신에 생체인식을 ...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KISTI l2015.03.31
- 이들과 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반사회성 인격 장애에 대한 이해가 이들의 범죄에 대한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 이들이 사회의 안녕을 저해하고 타인에게 피해를 끼친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합당한 법의 심판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반사회성의 원인이 선천적인 생물학적 특징과 불우한 ...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KISTI l2015.03.24
- 절도사건은 33%, 폭행 사건도 21% 줄어들었다. 이런 추세는 9년 동안 이어졌다. 애초에 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한 것이다. 경찰이 추구하는 최선의 결과다. 로스엔젤레스 경찰이 꿈을 실현해낸 힘은 빅데이터다. ● 빅데이터 = 4V 빅데이터(big data)는 말 그대로 엄청나게 거대한 데이터를 ...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2015.03.17
- 멕시코시티의 범죄율은 2009년 이후 32%나 드라마틱하게 줄었다. 치안을 강화해서, 아니면 법이 엄격해져서일까. 그도 아니면 CCTV 설치 지역을 대폭 확대해서였을까. 정답은 도시 전역을 아우르는 감시 시스템에 장착된 오디오 센서다. 이 센서는 주변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통해 사운드를 수집하는 ...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2015.03.02
- 사건이라는 해석이다. 며칠 전 한 TV에서 최근 수년 사이 우리나라에서 치정에 얽힌 강력범죄가 늘고 있는 추세라는 뉴스에 나온 한 전문가가 이런 맥락에서 현상을 설명하는 걸 봤다. 반면 버스 교수는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즉 치정에 얽힌 살인은 질투의 극단적인 형태이지만 ...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KOITA l2014.12.29
- 콜레라 지도는 쓸모가 많다. 범죄 프로파일러들은 지도에 표시된 범죄 장소를 바탕으로 범죄의 특성을 분석하거나 예견한다. 마찬가지로 역학 연구자들은 감염병이 발생한 장소를 표시해 병의 전파 특성을 파악하거나 예방한다. 1855년 영국의 의사 존 스노우가 만든 이 지도는 런던 도심지 지도에 18 ... ...
이전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