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림
삼림
수풀
덤불
잡목림
입목
임야
스페셜
"
숲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
2016.10.21
개방해 밤새도록 책의 향기에 취해있을 수 있다. 당일로 돌아가는 게 아쉽다면 지혜의
숲
과 이어져 있는 게스트하우스에 묵어보자. 텔레비전 대신 책이 가득 꽂힌 책장과 국내 작가의 전집과 소장품으로 꾸며진 '작가의 방'도 마련되어 있다. 파주출판도시뿐만 아니라 요즘은 독서를 콘셉트로 잡은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농도 감소와 대기 건조라는 광합성에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게 진화한 것이다. 그리고
숲
이 광범위하게 사바나(초원)로 바뀌는 1000만~600만 년 전 C4 식물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침팬지와 공통조상에서 인류가 진화를 시작한 시점과 비슷하다. C3 식물이 유인원들이라면 C4 식물은 사람인 셈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제공 10월 14일자 ‘사이언스’ 표지는 이집트
숲
모기(Aedes aegypti)가 장식했다. 이집트
숲
모기는 지카 바이러스, 댕기열, 황열병 등을 사람에게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이언스는 이번 호에서 모기 퇴치를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을 특집 기사로 소개했다. 현재 모기 퇴치를 위해 가장 널리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세계 곡물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데다 원료를 확보하려면
숲
을 개간해 밭을 만들어야 하므로 전혀 친환경이 아니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따라서 최근 2세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자들은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황산으로 처리해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한 상아 거래 합법화를 논하기는 이르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아프리카코끼리는
숲
코끼리(둥근귀코끼리, 왼쪽)와 사바나코끼리 두 종으로 이뤄져 있다. 둘은 크기뿐 아니라 생태도 꽤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개체수가 적은 둥근귀코끼리는 번식력도 떨어져 밀렵으로 인한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수준으로 비화하자 대규모 재현 실험을 진행했다. 즉 2001년부터 2006까지 6년 동안 깨끗한
숲
에 얼룩나방 4864마리를 풀어준 뒤 잡아먹히는 비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하루가 지날 때 검은색 나방의 생존율이 밝은 색 나방보다 평균 9% 낮았다. 참고로 얼룩나방은 성체가 된 뒤 수일 만에 죽는다. 즉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브라질에서 팬데믹 수준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일까. 사실 1969년 말레이시아의 이집트
숲
모기(Aedes aegypti)에서 지카바이러스가 검출됐고 1977년 인도네시아에서도 발견됐다. 그럼에도 역시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기 때문에 전공자들의 논문에만 보고되는 정도였다. 그런데 2007년 지카바이러스의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죽은 뒤 2년이 지난 어느 날 이츠키가 조난된 산을 찾은 히로코는 아침 눈이 수북이 쌓인
숲
속에서 이런 안부 인사를 외친다. 필자에게 ‘러브레터’는 감성적인 스토리뿐 아니라 화면의 서정적인 아름다움으로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작품의 배경이 되는 홋카이도(북해도) 오타루의 눈 덮인 ... ...
신규원전과 지역사회의 이인삼각, 눈에 띄는 월성원전 봉사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협약을 체결하여 후원금으로 1억원을 전달하고 마을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숲
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활동은 발전소 주변 지역인 읍천리를 관광명소로 만든 것. 이전부터도 읍천항 주변에는 주상절리가 있어 관광객의 발길이 있기는 했지만 아는 사람만 아는 곳이었다. 그러나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중간고사라며 가방 잔뜩 갖고 온 책은, 물론 꺼내지도 않았다. 배를 타고 찾은 맹그로브
숲
맹그로브와 잘피도 관찰할 수 있었다. 맹그로브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서 바닷물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열대 나무다.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오는 오염 물질을 1차로 걸러 바다를 깨끗하게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