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각
잠시
짧은시간
스페셜
"
잠깐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걸 알았다. 즉 동물의 도구와 구석기인의 도구는 차원이 다른 얘기라는 말이다. 여기서
잠깐
구석기에 대해 알아보면 오늘날 칼의 역할을 하는 박편을 주로 만들던 시대를 ‘올도완 문화’라고 부르는데 26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고 주먹도끼처럼 진일보한 타제석기를 만들던 시대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자서전이라고 한다. 한 번 읽어보고 재미있으면 아는 출판사에 번역서를 제의해볼까
잠깐
생각해봤다. 그런데 서평이 실리고 3개월이 지난 ‘네이처’ 3월 5일자에 칼 제라시의 부고가 실렸다. 제라시가 올해 1월 30일 지병으로 타계했다는 것. 따라서 그가 죽기 3개월 전인 지난해 10월 출간된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
2015.12.15
기반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불안한 출발선에서 좋은 결과를 내느냐를 가르는 것은 '
잠깐
근데 이 사람은 나랑 다를 수도 있잖아'라는 수정작업을 거치는가의 여부이다. 타인의 마음을 잘 이해하는 사람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아이와 어른의 차이가 바로 이 수정 작업에서 나타남을 보여주는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으로 원래 장기이식환자들에게 투여하는 면역억제제로 개발된 물질이다. 여기서
잠깐
노화지연연구의 역사를 살펴보자. 지금까지 동물실험을 통해 노화지연효과가 인정된 방법이 꽤 있다. 먼저 칼로리제한으로(소식 또는 간헐적 단식) 많은 동물에서 노화지연과 수명연장이 나타났다. 운동도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6] 숫자로 보는 핵융합 ,"300초"
2015.11.24
5분이라는 시간은 대부분 우리 일상에서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마련이다. 업무 중간에
잠깐
화장실에 다녀오거나, 커피 한 잔을 타 마실 수 있는 정도의 시간. 또는 끓는 물에 라면을 넣고 면이 익길 기다리는 시간 정도이다. 하지만 5분이라는 시간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순간도 있다.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2] 국산 핵융합장치 KSTAR의 진공배기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09
보통 뜨거운 물에 손을 넣으면 금방 화상을 입지만, 그와 같은 온도의 수증기는
잠깐
이지만 만질 수 있습니다. 이는 온도가 같더라도 같은 부피 안에 고온의 입자 수가 적으면 열전달이 천천히 일어나는 원리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실험을 할 때, KSTAR 내부에 있는 고온의 입자의 수는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015년은 파지가 발견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많은 사람들에게 파지는 중고교 생물 시간에
잠깐
들어본 게 전부일 것이다. 그리고 과학계에서도 파지는 분자생물학 초창기에 반짝 인기를 끌었을 뿐이다. 그런데 최근 파지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구 생태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파지를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환경, 즉 좁은 공간과 무중력(미세중력) 상태에서 500일을 버텨야 한다(중간에 화성에
잠깐
내려 바람을 쐬기는 한다). 이 과정에 급박한 상황이 생겨도 지구와 실시간으로 소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판단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NASA에서도 화성탐사의 성공여부가 기술도 기술이지만 ... ...
인공태양에 필요한 중수소와 삼중수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1년 동안 사용하는 에너지인 약 1017W를 만들어내는 셈이다. 태양은 이런 수준의 에너지를
잠깐
도 아니고 수십억 년 동안이나 끊임없이 생산해왔다. 핵융합의 또 다른 장점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이다. 핵융합과 비슷해 보이는 핵분열 반응은 무거운 방사성 원소를 쪼개어 새로운 방사성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발견의 뒷얘기가 나와 있는데 꽤 흥미롭다. 먼저 말라리아약 개발의 역사를
잠깐
돌아보자. 수천 년(기록만 따져서) 동안 말라리아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던 구대륙의 사람들은 남아메리카 주민들이 키나라는 나무의 껍질을 열병의 치료제로 이용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됐다. 그 뒤 프랑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