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재료"(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큐멘터리]생체 분자로 세상에 없던 슈퍼항체·세포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1.12.08
- 화학재료들이다. 만에 하나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에서 나아가 DNA나 리보핵산(RNA)을 재료로 사용한다면 어떤 신소재를 만들 수 있을까. 오승수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기능성 생체분자 소재 연구실’은 바로 이같은 생체 분자, 특히 서열 조절 고분자를 이용해 다양한 신소재를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첨단 기술 발굴해 적용하고 민간 투자 균형 찾아야 우주산업 혁신 가능해동아사이언스 l2021.12.07
- 소개했다. 아스트라는 발사체 설계 미션에 디지털 방식을 적용했다. 다양한 부품 설계, 재료 조달,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을 진행하는 데 AWS 클라우드를 활용했고 설립 5년만에 발사체 발사에 성공했다. 크로져 이사는 “우주발사체는 수백만건에 달하는 연속적인 과정이 한치의 흠결없이 진행돼야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 미국은 소행성 방어 연구...한국도 아포피스 향해 첫 탐사 길 연다동아사이언스 l2021.12.06
- 위한 비행역학 등 선행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천문연과 항우연, 재료연, 원자력연 등 출연연뿐 아니라 KAIST 등 대학과 벤처기업의 협업이 필요하다"며 "지금부터 준비해야 계획했던 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현장 모습. 고재원 기자 ...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달에서 자원자급·배달서비스도 나온다…국내기업들도 "우주탐사 준비 중"동아사이언스 l2021.12.06
-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포럼에서 “소형 고체연료 추진체 로켓을 개발해 달에서 자원과 재료를 운송하는 사업을 진행하려 한다”고 소개했다. 와이스페이스는 초소형 발사체로 큐브위성을 달 궤도에 보내거나 달에서 채굴한 우주자원을 달 게이트웨이와 같은 중간기지로 보내는 역할을 할 것으로 ... ...
- 미국·캐나다 연구팀, 코로나 합성항원 백신 상온 보관방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12.03
-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무기물질인 알루미늄염, 칼슘염이나 사포닌, 리포솜과 등의 재료와 결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중 리포솜은 인지질로 이뤄진 캡슐형태의 입자다. 이번 연구의 교신저자인 조나단 로벨 미국 버팔로대 의생명공학과 교수는 바이오기업 POP바이오테크놀로지스를 ... ...
- [과학게시판] 2021 청소년 우주과학여행 다음달 10일까지 운영 外동아사이언스 l2021.11.26
-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를 주재했다. 간담회에는 권순기 경상국립대 총장, 이정환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서용철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원장과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등 산학연관 대표 15명이 참여해 지역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에 대해 논의했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 ...
- [랩큐멘터리]단 2g만으로 운동장 덮는 물질로 신소재 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2021.11.24
- 알아가는 과정의 연구의 흥미를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텍 기능성무기재료화학연구실 바로가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 ...
-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11.20
- 가진 회사는 손에 꼽았다. 연구비도 충분하지 않았다. 다행히 그린광학이라는 기업이 재료비만 받고 반사경을 제작해 줬다. 덕분에 2억 원에 망원경을 만들 수 있었다. 스바루 망원경 제작에 4000억 원가량이 든 것을 생각하면 큰 차이다. 처음 김윤종 선임연구원, 선광일, 한정열 책임연구원과 함께 ... ...
- 박주현 현택환 선양국 교수 등 상위 1% 연구자에...국내 대학·기관 연구자 55명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1.11.17
- IBS)에 동시 소속된 연구자는 8명이다. 특히 로드니 루오프 교수(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와 현택환 교수(IBS 나노입자 연구단장)는 HCR 발표가 시작된 2014년부터 8년 연속 선정됐다. 논문 피인용 횟수 상위 1%에 오른 한국 대학·기관 연구자 47명 명단이다. 소속란의 괄호 안은 동시 소속된 ... ...
- [과학게시판] 제2회 KAIST 국제 이머징 소재 심포지엄 外동아사이언스 l2021.11.16
- 에너지 분야 석학들이 참여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첨단 에너지 재료, 차세대 바이오·나노재료, 신소재 선도 분야 및 최신 나노연구 등 3일간 7개의 세션에서 열띤 강연이 진행된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