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스페셜
"
전자
"(으)로 총 1,7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KAIST 교수. KAIST 제공 ■전상훈 KAIST 전기및
전자
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존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메모리는 음의 정전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유
전자
네트워크를 건드려 합성 관련 유
전자
네 개의 발현량은 높이고 분해 관련 유
전자
하나는 고장냈다. 그 결과 PHA 생산량이 세 배나 늘었다. 이렇게 다방면에서 개선한 화학-생물 융합 시스템의 PHA 생산 효율은 지금까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광합성(미세조류) PHA 생산 효율의 6.4배에 ... ...
[과기원은 지금] KAIST팀 상금규모 26억 해양로봇대회 결선 진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가 KAIST KI 빌딩 앞에서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KAIST 제공 ■KAIST는 14일 기계공학과·전기및
전자
공학부 학생들로 구성된 팀이 국제 해양로봇 경진대회인 ‘MBZIRC 마리타임 그랜드 챌린지’ 최종 결선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아랍에미리트 정부가 후원하고 아부다비 과학성 산하기관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인식해 달라붙어 작용을 방해하는 전략이 쉽게 먹혀든다. 연구자들은 ECN 게놈에서 유
전자
두 개를 바꿔 암모니아에서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쉽게 많이 만들 수 있게 만들었다. 투여한 변이 ECN이 종양 미세환경의 암모니아로 만들어 내놓은 아르기닌을 흡수한 T세포는 기운을 차리고 암세포를 ... ...
[과학게시판] 국가위성운영센터 제주도에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초박절편기 기술’을 분석기기기업 이공교역에 이전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통해 세포와 조직의 복잡한 구조를 3차원(3D)으로 관찰한다. KBSI는 선급기술료 1억원, 경상기술료 총 매출액의 5% 조건으로 기술이전에 서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주영창 ... ...
[과기원은 지금] 최경철 KAIST 교수팀, OLED로 소아황달 치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23
■김윤수 광주광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는 22일 국제학술지 국제전기
전자
공학회(IEEE)의 Transactions on Sustainable Energy(TSTE)'의 편집위원에 선임됐다고 밝혔다. 이 학술지는 재생에너지 분야 저널이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이 내구성이 향상된 ... ...
[과학게시판]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공청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23
따라 관련 법제도 역시 이에 따른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미국 공군연구소의 '멀티 에이전트 강화학습' 연구과제 1단계를 마치고 2단계 연구에 들어갔다고 22일 밝혔다. 2단계는 다수의 인공지능(AI)가 협업·경쟁하는 환경에서 상호 전략 학습을 통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최소 3 곱하기 10의 21승개의 트랜지스터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도체 표면에서
전자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에서 시작된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응용과학의 씨앗이 됐다. 전극 장치가 신호를 증폭하고 진공관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면서다. 이후 개발된 집적 회로는 반도체 ... ...
[과기원은 지금] 강지형 KAIST 교수팀, 신축성 갖는
전자
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제공 ■강지형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액체 금속으로 고무처럼 신축성을 갖는
전자
회로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나 체내 삽입기기, 로봇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11일자 표지논문으로 공개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과학자 개발 '고무처럼 휘는 다재다능 회로기판'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지닌 소재로 만드는 것에 주목했다. 신체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의료기기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활용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같은 특성을 가진 PCB 공정을 개발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신축성을 가진 PCB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선 회로 라인의 전도성을 유지하는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