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
추세
새짐승
흐름
날짐승
형편
경향
스페셜
"
조류
"(으)로 총 2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성별을 예측할 수 있다는 뜻밖의 사실을 발견했다. 메추라기와 닭 모두 꿩과(科)
조류
이기 때문에 달걀에서도 이런 일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아직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분자를 찾지는 못한 상태다. 유전자편집 거부감이 문제 필자가 가장 끌린 방법은 유전자편집(크리스퍼) 기술을 ... ...
출연연 똘똘 뭉쳐 낙동강 녹조 발생 3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발생시켜 녹조를 제거하게 된다. 연구팀은 “낙동강에서 연평균 30일 가량 발생하던
조류
경보 일수를 10일 이내로 낮춰 안전한 식수원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美CDC, 치료약 없는 슈퍼버그 칸디다 아우리스 확산 경고…원인은 '기후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42도까지도 살아남았다. 이외 고온에서도 생존 가능한 칸디다속 진균들은 흙이나 꽃,
조류
, 물 등에서만 발견됐을 뿐 인체 감염사례는 아직 없었다. 연구팀은 칸디다 아우리스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등장한 새로운 병원성 진균의 첫 사례라고 분석했다. 칸디다균을 비롯해 대부분의 진균은 습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않고 근육이 이완하면서 호흡과 심박수도 감소한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포유류와
조류
, 파충류 정도에게만 렘수면 단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어류 등 다른 척추동물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지 못했다. 연구팀은 생후 2주인 제브라피시의 신경세포 활동, 근육과 심장의 움직임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새 깃털 입고 박쥐처럼 날아다닌 암보프테릭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쳐져 있었다는 흔적이 뼈에 남아 있다. 연구팀은 암보프테릭스 화석이 공룡과 익룡,
조류
, 박쥐가 어떤 식으로 진화해 하늘을 날았는지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버들붕어가 결코 거울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걸 떠올리면 놀라운 결과다. 포유류나
조류
가 종에 따라 인지능력이 천차만별이듯 어류도 차이가 크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청소놀래기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어류의 침팬지 또는 까치’라고 부를 만하다. 청소놀래기 같은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대장균을 만들어 발표했다. 박진병 이화여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2016년 녹조나 미역 같은
조류
에서 지방산을 분리한 뒤 미생물과 반응시켜 자동차나 항공기 내장재와 엔진룸에 쓰는 ‘중쇄카르복실산’이라는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이 대사공학으로 개발한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특성이 언어능력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토룬 컨퍼런스에서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조류
학자 오카노야 카주오 박사는 십자매와 그 야생 조상인 납부리새(munia)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50여 년 전 사람들이 길들인 십자매는 성격이 온순하고 사교적이다. 반면 원종인 납부리새는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아끼시는 분도 많아요.” 지금은 모든 조사를 끝내고 캐나다에서 열리는 국제
조류
학회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 필드에서 얻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해 만든 포스터를 청중들에게 설명하기 위한 발표 준비로 바쁘다. 정다미 연구원은 서울 158개 지점(아래)을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반경 200m 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톤에 불과하다. 새도 가금(주로 닭)이 500만 톤으로 야생
조류
200만 톤의 세 배에 가깝다. 고기에 맛을 들인 인류가 지구를 어떻게 바꿔놓았는지 잘 보여주는 데이터다. 육류소비량 추세가 극적으로 바뀌지 않는 이상, 늘어나는 수요에 맞추려면 한 세대 뒤에는 가축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